폭언·위협적 행동에 노출된 민원 공무원
노원구, 1명→4명→5명...꾸준히 확대
강서구·동대문구 올해 보안관 신설
예산 빠듯 "필요하지만 확대 더뎌"
일부 민원인들의 폭언·폭행으로 정신적·신체적 고통과 피해를 호소하는 공무원들이 늘고 있다. 사진은 강서구 가양2동 주민센터에서 갑질 민원인에 대응하는 모의훈련 모습.(사진제공=강서구청)
민원인의 폭언·폭행으로부터 공무원과 내방하는 다른 민원인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요원을 늘리는 자치구가 늘고 있다. 매일 다수의 민원인을 현장에서 만나는 동 주민센터 등 민원 부서의 경우 일부 민원인들의 상습적인 폭언과 위협적인 행동에 항시 노출돼 있다.
최근 김포시 9급 공무원이 악성 민원에 시달리던 중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지난해 5월 부산에서는 민원인에게 머리와 얼굴을 맞은 공무원이 기절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서울 강서구는 이달 1일부터 지역 내 20개 동 중 화곡1동과 등촌3동 주민센터 두 곳에 안전요원을 1명씩 배치했다. 안전요원은 동 주민센터 운영 시간인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근무하며, 청사 관리를 비롯해 민원 안내 등의 업무를 맡는다. 이들은 폭언·폭행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폭력행위를 저지하거나 물증을 수집하는 게 주 업무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인근 지구대에 연락하는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강서구가 안전요원을 두기로 한 것은 직원 설문 등 자체 의견수렴 결과 고성과 폭언·폭행 등으로 인한 정신적·신체적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 담당 공무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자치구에서는 비상 상황에 대비한 경찰 합동 모의훈련을 비롯해 휴대용 보호장비(웨어러블 캠) 도입, 상호존중 안내문 배치 민원 담당 공무원에 대한 보호와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피해를 호소하는 목소리는 줄어들지 않는다.
서울에서 안전요원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노원구다. 노원구는 2022년 하계1동을 시범 사업지로 방호전담 직원인 보안관 1명을 배치했고, 반응이 좋고 효과가 있자 지난해 보안관을 배치하는 동 주민센터를 4곳으로 늘렸다. 올해는 추가로 1곳을 더 늘려 총 5곳에 5명을 배치했다.
노원구 관계자는 "보안관 배치 효과를 지난해 3개월간 모니터링 한 결과, 물리적 폭력 저지 2건, 언어폭력이나 흥분한 민원인을 진정한 것이 62건 등으로 나타났다"며 "직원에 대한 정서적 안정은 물론 민원인에 대한 친절 응대에도 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동대문구도 지난달 4일부터 전농 제1동 주민센터에 보안관 1명을 시범 배치해 운영 중이다. 해당 동은 지난해 동주민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배치 희망 1순위로 꼽혀 전담 경호 인력을 우선 배치했는데 효과를 분석해 다른 동에도 추가 배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다른 구에서도 도입 및 확대를 검토하고 있지만 예산이 걸림돌이다. 관악구는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간 동 주민센터 안전보안관 시범 운영 사업을 벌여 대학동 주민센터에 배치했고, 효과를 확인했지만, 올해 추가로 늘리지는 못했다.
안전요원은 경비용역업체와 연 단위 계약을 맺는 방식이라 임기제 공무원이나 청원경찰(무기계약직)을 두는 것에 비해 인건비 부담이 덜하지만 예산 문제로 그마저도 부담스러워하는 곳이 많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여러 자치구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만, 교부세 감소로 지자체 재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빠른 확대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면서도 "다른 대다수 민원인에 대한 안전 문제와 직원 보호 의식 강화로 확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