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상업용 로봇 집중
AI 기반 로봇 플랫폼 표준화 주도 추진
삼성전자도 생성형 AI 적용 로봇 등 관심
사외이사에도 로봇 전문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과 ICT를 발판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글로벌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투자와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둔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약 787억원)를 투자,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분 투자는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니라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LG전자는 이 투자를 통해 미래 신사업 중 하나로 육성 중인 배송·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속도를 내려 한다.
주식매매 거래가 종결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이끄는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설립됐다. 공동 창업자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비롯해 구글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출신 엔지니어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 로봇을 앞세워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오픈 플랫폼 기반의 로봇 개발 역량은 글로벌 톱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상업용 로봇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기반 관제 솔루션 분야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LG전자는 수년간 휴대폰과 태양광 등 한계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미래 고성장 영역에 자원을 집중해 왔다. 이번 지분 투자 역시 상업용 로봇 사업의 조기 전력화와 육성을 가속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향후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은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SDR)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개방형 구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의 표준화가 중요한 만큼 이번 투자가 미래 신사업으로 육성 중인 로봇 사업의 역량을 빠르게 끌어올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경북 구미 LG 퓨쳐파크에 상업용 로봇 자체 생산시설을 갖추고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 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 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여 왔다. 여기에 베어로보틱스가 보유한 글로벌 연구개발(R&D)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을 더하면 로봇 플랫폼 표준화를 주도하고 시장 진입 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어 사업 효율과 시너지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 로봇을 미래 성장동력 중 하나로 낙점하고 연구개발과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돌봄 로봇, 가정용 로봇 등을 꾸준히 연구해 온 삼성전자는 2021년 하반기 조직개편에서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상설 조직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하며 로봇 분야를 신사업으로 본격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해에는 다족보행 로봇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도 매입했다.
CES 2024에서는 생성형 AI를 적용한 반려 로봇 '볼리'를 깜짝 공개해 화제가 됐다. 공 모양 로봇 볼리는 사용자 패턴을 지속적으로 학습해 스스로 진화하면서 사용자의 일상적 가전기기 사용 등을 돕고 집을 모니터링하며, 고령 가족이나 반려동물을 돌보는 기능을 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지난 7일 수원 디지털시티를 방문한 자리에서 볼리 시연을 본 뒤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과 연계하는 방안을 고민해 달라"고 제안하고 "(볼리에) 독거노인을 위한 기능이 들어갔으면 좋겠다"고 하는 등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이뿐 아니라 올해 선보이는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도 실버타운, 피트니스센터, 필라테스센터 등에서 B2B(기업 간 거래)로 시작해 B2C(기업·소비자 거래)로 확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이사진 구성에서도 로봇 사업에 상당한 역량을 투입하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삼성전자는 최근 공시를 통해 신임 사외이사 후보 중 하나로 조혜경 한성대 AI응용학과 교수를 내정했다고 밝혔다. 조 내정자는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이사(의장),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 한국로봇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로봇 전문가다.
로봇은 지금의 자동차처럼 AI뿐 아니라 반도체, 광학, 통신, 소프트웨어, 기계공학 등 다양한 분야가 집약됐고, 제조업부터 물류, 요식, 의료 등 상업용과 가정용에 이르기까지 확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다.
여기에 생성형 AI 등장으로 로봇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끊임없이 학습하며 더욱 '똑똑해지는' 시대가 도래하는 만큼 로봇 시장에서 앞서 나가려는 주요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골프치던 MZ들 다 어디갔나요"…줄줄이 '철수' 하...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