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범죄와의 전쟁 나선 경찰…악성사기 근절 대책 고도화 추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017년 23만건에서 2022년 32만6000건으로 증가
'보이스피싱범죄 수사계' 신설 등 강도 높은 대책 마련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최근 기승을 부리는 신종 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악성사기 근절 대책을 고도화해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경찰은 투자리딩방 사기·연애빙자 사기(로맨스스캠)·스미싱(미끼문자 등) 등 조직적 신종 사기를 포함해 척결 대상을 '10대 악성사기'로 재편하고 전방위적인 근절 대책을 시행한다.

범죄와의 전쟁 나선 경찰…악성사기 근절 대책 고도화 추진
AD
원본보기 아이콘

먼저 악성사기 특별단속과 사기 피의자 검거 활동에 주력하기 위해 본청에 국수본부장이 주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각 시·도경찰청 직접수사 부서와 경찰서 수사과에는 분야별 전담수사팀과 악성사기 추적팀을 각각 운영한다.

전세 사기·투자리딩방 사기 등 현재 단속 중인 4개 과제는 연말까지 단속을 연장하고, 전기통신금융 사기(보이스피싱)·연애빙자 사기·스미싱 등 6개 과제는 이달부터 차례로 신규 단속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경찰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를 중심으로 금융·통신회사와 협업을 강화하고, 이미 발생한 사기범죄 관련 자료와 새롭게 접수되는 각종 신고·제보 등의 데이터를 분석해 범행 수단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통합대응플랫폼'을 마련한다.


불법 투자리딩방, 구매대행 아르바이트 사기 등 신종사기 대응을 위한 '사기방지기본법' 제정에도 속도를 낸다. 해당 법안은 사기범죄 정보 수집·분석, 피해 예·경보 발령, 범죄의심 전화번호 차단 등을 수행하는 '사기통합신고대응원' 설치 근거를 담고 있다.

경찰은 신고와 제보 등 데이터를 분석해 최신 유행 사기 수법이나 신·변종 사기 수법이 확인될 경우 대국민 예·경보를 발령할 계획이다.


아울러 본청에 신설된 '범죄수익추적수사계'를 통해 악성사기 범죄수익을 적극적으로 추적·보전하고 피해 회복까지 연계한다. 해외로 도피한 악성사기 피의자를 신속하게 송환하기 위한 국제공조도 강화한다.


앞서 경찰은 2022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전세사기와 보이스피싱 등 '7대 악성사기'를 중점 단속해 총 4만9497건, 6만2175명을 검거하고 이 중 4121명을 구속했다.


동시에 전세사기에 대해 '범죄집단조직죄'를 적용해 사법 처리하고 관련법을 개정해 보이스피싱 보호 범위를 확대했으며,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를 개소해 원스톱 신고·제보가 가능하게 했다.


최근 전반적인 사기범죄 발생 건수는 2017년 약 23만건에서 2022년 약 32만6000건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전체범죄 중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3.9%에서 22.0%로 상승했다. 특히 조직성·온라인·비대면·초국경의 특성이 강해 추적이 어려운 신종사기가 늘면서 사기범죄 검거율은 2017년 79.5%에서 2022년 58.9%로 20.6%포인트 감소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사기와의 전쟁'을 치른다는 목표로 적극적인 사기 피의자 검거 활동은 물론 사기범죄 동향 예측·분석을 통한 추가 피해 차단, 범죄수익 적극 환수를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