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산은 부산행' 박차…직원들 줄퇴사[신의직장 떠난 MZ]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산은 직원 엑소더스도 지속
시중은행과 처우 비교우위 사라져
본점 부산 이전설로 갈등 지속

'산은 부산행' 박차…직원들 줄퇴사[신의직장 떠난 MZ]
AD
원본보기 아이콘

"불과 3~4년 전까지만 해도 많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선 국책은행에서 시중은행은 물론 중·소형 증권사나 캐피탈사에라도 이직하는 젊은 직원이 늘어나는 추세예요. 민간 금융기관의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데다, 설상가상으로 일부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이런 흐름이 빨라지는 분위기입니다."


이른바 '신의 직장'이라 불리던 한국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에서도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중은행 등 민간 금융기관의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른 데다, 본점 부산 이전을 앞둔 산업은행을 기점으로 국책은행의 지방행(行) 가능성이 대두되면서다.

16일 아시아경제가 국회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산업은행의 2023년 퇴직자(정년퇴직·임금피크제 적용·무기계약직 제외) 81명 중 20·30세대는 57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퇴직자 중 약 70.4%가 20·30대에 집중된 것이다.


이런 산업은행의 20·30세대 퇴직자 규모는 지난 10년과 비교했을 때 이례적인 수치다. 연도별 20·30대 퇴직자 수를 보면 2013년 18명을 기록한 이래 2021년까지 16~26명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했지만, 2022년과 2023년엔 각 57명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은 부산행' 박차…직원들 줄퇴사[신의직장 떠난 MZ] 원본보기 아이콘

이 영향으로 전체 퇴직자 규모 역시 10년 내 최대를 경신했다. 산업은행의 연간 퇴직자 수는 2013~2021년 동안 2016년(40명)을 제외하고 매년 20~30명대를 유지해 왔으나, 2022년 80명을 기록한 데 이어 한 해 만에 기록을 재차 갈아치우게 됐다.


이런 경향은 다소 폭은 작지만, 수출입은행에서도 나타나는 추세다. 수출입은행의 20·30대 퇴직자 수는 2016년(12명)을 제외하고 2019년까지 한 자릿수를 유지했으나, 2020년 12명으로 두 자릿수로 올라섰고 2023년엔 13명으로 10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수은의 전체 퇴직자 역시 10년 내 최대 수준인 18명으로 늘어 2013년(9명) 대비 2배 수준이 됐다.

규모는 다르지만 두 국책은행에서 이런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일차적 원인으론 처우 문제가 꼽힌다. 시중은행 등 민간 금융기관의 급여 수준이 크게 오르면서 비교우위가 상쇄된 것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평균 급여액(기간제근로자 포함)은 2018년 9300만원에서 2022년 1억1250만원으로 약 20% 증가했다.


반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의 일반 정규직 평균 보수액은 같은 기간 1억952만원에서 1억1289만원(산은), 1억240만원에서 1억615만원(수출입은행)으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준이 다른 만큼 일률적 비교는 어려우나, 신의 직장이라 불리던 국책은행의 비교 우위가 사라지고 있다.


신입직원 초임의 경우 이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신입사원 초임은 2022년 기준 각기 5130만원, 4570만원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의 초임이 공개되고 있지는 않으나 6000만원 안팎으로 알려진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격차를 보이는 셈이다. 성과보상금이나 각종 복지시스템 등을 고려하면 20·30세대 행원들이 느끼는 차이는 더욱 크다.


설상가상으로 지방 활성화를 위해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이 거론되고 있는 것은 이런 20·30세대 이탈에 결정타 역할을 하고 있다. 산업은행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이후인 2022년부터 산업은행의 부산행을 강력히 추진하면서다. 산은의 20·30세대 퇴사자가 연 50명을 넘어서게 된 시점과 동일하다.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현재까지도 부산 이전 반대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국책은행 한 관계자는 "임금 문제도 적지는 않으나 중·장년층에 비해 결혼·육아 등 현실적인 문제가 남아있는 20·30세대에게 생활기반을 통째로 옮겨야 하는 지방 이전은 수용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행내에도 투자은행(IB) 부문 등 필수 기능을 최대한 (서울에) 잔류시키도록 협상하는 것이 현실적 답이란 움직임이 있지만, 오히려 젊은 직원들이 강경한 반대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문제는 결정타라 할 수 있는 지방 이전론이 더욱 힘을 받고 있다는 데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3일 부산 연제구 부산시청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산업은행을 부산으로 조속히 이전해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을 이끄는 동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힘을 실었다. 부산·강원 등 각 지방에선 산업은행 외에도 수출입은행,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남아있는 금융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론도 불붙일 태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처우 문제가 고개를 들고 있는 데다, 최근엔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추진으로 지방행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젊은 세대의 이탈이 심화하는 추세"면서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해도 이직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던 중·소형 증권사나 캐피탈사로도 급여 수준만 맞춰지면 이직하는 사례가 종종 나타나는 분위기"라고 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