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6500개 오프라인 소매점 매출데이터 조사 결과 분석
소비재 시장 성장세의 6배 ↑
성장률 1위는 편의점(19.3%)
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에 지난해 자체 브랜드(PB) 상품 매출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닐슨아이큐(NIQ)가 조사한 '유통업체 PB 상품 매출' 분석 결과 최근 1년간(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국내 PB 상품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1.8% 성장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재 시장은 1.9% 성장에 그쳐 약 6배 차이가 났다.
PB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협력해 생산한 뒤 자체 브랜드로 내놓은 상품으로 이마트 노브랜드, 롯데 온리프라이스, GS25 유어스 등이 있다. 마케팅 및 유통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가격을 낮춰 고물가 시대에 각광받고 있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소비자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품질 대비 저렴한 PB 상품 구입량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PB 시장 성장세는 비식품보다 식품 부문에서 두드러졌다. 지난해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였던 데 반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PB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소비심리가 위축된 소비자들이 필요하지 않은 비식품 지출은 줄이고, 음식료품 등 필수재 위주의 소비활동은 유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체 매출 대비 PB 비중이 가장 높은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8.7%)였다. 기업형슈퍼마켓(SSM·5.3%), 편의점(4.1%)이 뒤를 이었다. PB 매출 성장률 면에서는 편의점이 가장 돋보였다. 주요 업태 모두 전체 소비재 시장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편의점이 19.3%로 가장 높았고 대형마트(10.3%), SSM(5.7%)이 뒤를 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전체 소비재 시장에서 PB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로 식품과 비식품이 각각 3.9%, 4.6%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글로벌 전체 소비재 시장의 PB 매출 점유율은 21%로, 우리나라는 유럽(32.4%), 홍콩(13%), 싱가포르(6%)에 비해서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 원장은 "유럽의 경우 경제 저성장기에 실속 소비 패턴이 정착하면서 PB 시장이 크게 성장했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글로벌 유통업계 평균 PB 점유율이 21%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유통사들은 PB 라인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예주 기자 dpwngk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비트코인 500원일 때 5000만원 투자한 남친"…현...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