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판단·결정에 포괄적 면책 필요해"
보급품 등 예산 확대 목소리도
경북 문경시 육가공 공장 화재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다 젊은 두 소방관이 목숨을 잃은 사건과 관련해 소방관들의 안전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소방대원들의 현장 판단과 결정이 당시엔 최선이었음을 존중해주는 사회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함은구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2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현재 구조대를 투입하거나 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교육, 매뉴얼이 시행되고는 있다"면서도 "여기에 (위험한 상황에서) 무리하지 않도록 소방관의 재량권을 부여하는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소방관들도 현장이 위험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실제로 소방에서 적절하게 구조 활동을 하지 못했다는 비난 등이 우리 사회에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1일 경북 문경시 신기동의 한 공장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잿더미로 변한 공장을 바라보고 있다. 이곳에서 구조작업을 하던 소방 구조대원 2명이 순직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역시 "현장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인명을 구하거나 활동하는 것 자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행동하고 판단했을 때 나중에 어떻게 보일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날 KBS 라디오 '전종철의 전격시사'에서 "현장 활동을 신속하게, 적극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사고나 부상을 당한다면 왜 안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느냐는 비판이, 현장 안전을 위해 신중하게 활동한다면 왜 적극적으로 소방 활동을 하지 않느냐는 비난에 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건 현장에서의 판단과 결정이 그 상황에서 가장 최선이었다는 것을 존중해주는 체계"라며 "현장에서의 지휘에 대해서는 포괄적인 면책을 해주는 등 현장 결정을 비난, 비판만 하기보다는 충분히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현장 대원들에 대한 보급품 예산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0~15년 전보다는 장비의 품질이나 보급이 많이 개선됐고 지금도 그런 노력이 진행 중"이라며 "방화복을 예로 들면 우리나라는 노후화 교체 기준을 3년으로 두지만 미국 등에선 6~7년으로 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현장 일선까지 개선 노력이 느껴지지 않는 부분도 있다"며 "매년 소방 예산은 증가하지만 현장 대원들에 대한 보급은 비슷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예산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문경시 신기동 신기제2일반산업단지 한 육가공 제조업체 공장에서 불이 나 문경소방서 119 구조구급센터 소속 김수광 소방교(27)와 박수훈 소방사(35)가 순직했다. 건물 안에 공장 관계자 등 구조 대상이 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부로 진입한 두 사람은 3층에서 생존자 수색을 하다 건물 내부에 고립돼 변을 당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총 65억' 로또 1등 4장이 한 곳서…당첨자는 동일...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