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등 美 기업, 中 전문가와 대응 논의
지난해 두 차례 제네바서 회동
AI 잠재적 위험성 위기감 고조에
안전장치 구축 협력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를 비롯한 미국 인공지능(AI) 기업이 중국 AI 전문가들과 지난해 AI 안전 회의를 개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미국과 중국이 AI, 반도체 등 첨단기술을 놓고 패권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AI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AI 가드레일(안전장치) 구축에 협력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11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픈AI, 앤트로픽, 코히어 등 미국 AI 기업들은 지난해 7월과 10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중국 AI 전문가들과 만나 AI 기술의 오남용 확산과 사회 위협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측에서는 AI 기업들이 참석했고, 중국 측에서는 칭화대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중국 AI 기업인 바이트댄스, 텐센트, 바이두 등은 참여하지 않았다. 이번 회담은 중동 등 분쟁지역 중재 전문 기구인 샤이크그룹이 주도했다.
미국 AI 기업들과 중국 전문가들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 위험부터 AI 안전 연구를 위한 투자 확대까지 폭넓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개최된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첫 AI 회의, 11월 열린 영국 AI 안전 정상회의 등에서 논의된 정책 제안들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의견을 나눴다. 궁극적인 목표는 보다 정교한 AI 기술을 안전하게 개발할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한 참석자는 "이들(미·중) 집단의 합의 없이 AI 안전에 대한 국제 표준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그들이 동의한다면 다른 참여자들로 (회담을) 확대하기가 훨씬 쉬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회담은 미국과 중국이 AI, 반도체, 양자 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경쟁을 가속화 하는 가운데 추진돼 특히 이목을 끈다. 미국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중국 수출을 금지하는 등 대(對) 중국 기술 봉쇄 수위를 강화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AI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AI 기술 강자인 두 국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과 중국, 영국 정부 등도 모두 사전에 이번 회의 사실을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중국의 참여는 AI 안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대응에 필수적이다. 이에 영국은 지난해 11월 AI 안전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당초 미국과의 기술 경쟁으로 초청 여부가 논란이 됐던 중국을 초대했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AI 안전 논의에 "중국이 참석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며 "중국이 AI 안전에 대해 약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AI 개발에 있어) 선두로 나서 우리 모두를 앞지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선도국인 미국, 영국, 중국이 AI 안전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전문가들도 AI 안전에 대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서구 학계와 협력해 AI를 연구하는 중국 과학자들은 지난해 11월 첨단 AI가 향후 수십 년 동안 "인류에게 실존적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며 AI 기술을 엄격히 통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중국의 저명한 컴퓨터 공학자인 앤드류 야오 등이 이 성명서 발표에 동참했다. 성명서에는 국제 규제 기구 설립, 첨단 AI 시스템 의무 등록 및 감독, AI 안전에 연구 예산의 30% 배치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 외신은 "미국 기업과 중국 전문가들이 모여 AI 안전에 대한 비밀 회담을 가졌다"면서 "첨단기술 분야에서 두 강대국 간의 패권 경쟁 속에서 보기 드문 협력"이라고 평가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58억 무산되자 이번엔 38억…또 성과급 추진한 래미안 원펜타스 조합장](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52910032678806_174848060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