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배우자에게 내 재산 알려야 할까?…미혼남녀 절반 "모두 공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030 미혼남녀 500명 대상 설문조사
10명 중 7명 비상금 만들 의향 있어

'부부는 일심동체'란 말처럼 결혼 후 경제권도 일심동체가 될까. 결혼정보회사 듀오에서 2030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이상은 결혼 후 배우자에게 재산을 모두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22일 듀오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과반(54.0%)은 결혼 후 급여를 포함한 본인의 재산을 배우자에게 '모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공개'는 42.2%, '공개 안 한다'는 3.8%였다.

듀오가 '2030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 후 재산관리 관련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이상은 결혼 후 배우자에게 재산 모두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사진출처=픽사베이]

듀오가 '2030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 후 재산관리 관련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이상은 결혼 후 배우자에게 재산 모두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사진출처=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배우자에게 재산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는 '부부라도 서로의 재산을 모두 알 필요는 없어서'가 57.9%로 가장 많았다.

결혼 후 원하는 재산 관리 방식은 '공동 관리'

결혼 후 원하는 재산 관리 방식은 '공동 관리'(32.4%)로 나타났다. 이어 '경제 관념이 더 좋은 사람이 관리'(25.6%), '각자 관리'(23.2%), '아내가 관리'(5.6%), '재산 분야 나눠 관리'(5.0%), '남편이 관리'(3.8%), '상관없다'(3.8%) 등의 순이었다.

부부가 재산을 공동으로 관리하길 원한 이들은 그 이유로 '함께 모아 효율적인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어서'(56.2%), '투명한 재산 관리로 서로를 신뢰할 수 있어서'(16.0%), '부부라면 재산 관리도 함께하는 것이 당연해서'(13.6%)를 꼽았다.


반면 재산을 각자 관리하길 원하는 이유는 '자유로운 경제생활을 누릴 수 있어서'(39.7%), '각자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해서'(33.6%), '부부가 꼭 경제 공동체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서'(19.0%) 등으로 조사됐다.


부부의 공동 재산은 '공동명의'(67.8%)로 관리하길 바랐다. '각자의 재산 비율 적용'(21.8%), '남편 명의'(5.6%), '아내 명의'(3.6%) 등의 의견도 있었다.

미혼 10명 중 7명(71.4%)은 결혼 후 배우자가 모르는 개인 비상금을 만들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설문조사 업체 마크로밀 엠브레인을 통해 지난달 23~24일 25~39세 연애 경험 있는 미혼남녀 총 500명(남성 250명·여성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신뢰수준은 95%에 표준오차 ±4.38%P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