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400명 속인 北 해킹조직 '사칭메일'…가상자산도 탈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사칭 전자우편 발송사건' 수사결과 발표

북한 해킹조직의 소행으로 밝혀진 ‘사칭 전자우편 사건’의 피해자가 14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국회의원실·기자 등 사칭 전자우편 발송사건’을 추적·수사한 결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공격 대상을 확대해 사칭 전자우편이 계속해서 발송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경찰은 이 해킹조직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상자산을 탈취하고 있는 사실도 함께 파악했다.

북한 해킹조직은 정부기관·기자·연구소 등을 사칭해 ‘안내문’이나 ‘질의서’ 등 수신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내용으로 위장한 전자우편을 발송, 전자우편에 첨부된 파일을 열람하면 개인용컴퓨터(PC) 내부의 정보를 유출할 수 있는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실행되는 수법을 이용하고 있다.


전자우편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를 누르도록 유인하는 사례도 확인됐는데, 이 경우 피해자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나 포털사이트를 모방한 가짜 누리집으로 접속을 유도해 계정 정보를 탈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400명 속인 北 해킹조직 '사칭메일'…가상자산도 탈취
AD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북한 해킹조직은 사칭 전자우편 수신자의 소속기관 누리집을 제작해 접속을 유도하며 피해자별로 특화된 공격을 전개하는 등 더욱 교묘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번 수사를 통해 확인된 전자우편 계정 탈취 피해자는 1468명으로, 이 가운데 외교·통일·국방·안보 분야의 전·현직 공무원 등 전문가가 57명, 회사원·자영업자·무직자 등 다양한 직군의 일반인이 1411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공격 대상이 이제 특정 분야 종사자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이유는 북한 해킹조직이 가상자산을 노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랜섬웨어)’을 유포해 가상자산을 갈취한 사실이 처음 확인된 데 이어 올해에도 사칭 전자우편 피해자들의 가상자산거래소 계정에 부정 접속해 절취를 시도하고, 해킹으로 장악한 경유 서버 147대에서 ‘가상자산 채굴 프로그램’을 관리자 몰래 실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북한 해킹조직이 사칭 전자우편의 공격 대상을 확대하고, 가상자산 갈취·절취·채굴까지 다양화함에 따라 경찰은 피해를 적극적으로 예방·저지하기 위해 외교부 등 관계기관, 미국 정부, 유엔 등과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 대응에 나섰다. 이와 함께 경찰은 피해자들에게 전자우편에 대한 보안 조치를 권고하는 한편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력해 북한 해킹조직이 운영하는 피싱 사이트를 차단하고,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등 관계기관에 북한 해킹조직의 경유 서버 목록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해 정보보호 정책 수립에 활용하도록 조치했다.


경찰청은 “북한 해킹조직의 공격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있는 만큼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자우편과 가상자산거래소 계정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2단계 인증 및 일회용 패스워드(OTP) 설정, 해외 인터넷주소(IP) 접속 차단 등 보안 설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