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AI와 노동시장 변화' 분석
인공지능(AI)의 업무 활용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국내 일자리 중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341만개로 전체 일자리의 12%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AI 노출 지수가 높은 일자리로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꼽혔으며, 우리나라 대표 고소득 직업인 의사 역시 AI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은 'BOK 이슈노트: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서 "AI는 생산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반면, 고용 없는 미래에 대한 우려도 내포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특허 정보를 활용해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산출한 결과, 우리나라 취업자 중 약 341만명(전체 취업자수 대비 12%)은 AI 기술에 의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 로봇·소프트웨어 등 기존 기술과 달리 고소득·고학력 근로자가 AI에 더 많이 노출됐는데 이는 AI가 비반복적·인지적(분석) 업무를 대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AI 노출 지수가 가장 높은 일자리에는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됐다. 이런 일자리들은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를 효율화하기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AI 노출 지수가 가장 낮은 일자리는 단순 서비스 종사자, 종교 관련 종사자 등으로 대면 접촉과 관계 형성이 필수적인 분야다.
의사·회계사·변호사 AI 노출 지수 높아
직업 세분류로 살펴보면,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인 일반 의사, 전문 의사, 회계사, 자산운용가, 변호사는 AI 노출 지수가 높은 편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자, 성직자, 대학교수, 가수·성악가는 AI 노출 지수가 낮았다. 한은 조사국 오삼일 고용분석팀장은 "예상과 달리 기자가 AI 노출 지수가 낮은 것은 단순 보도와 달리 탐사 보도 등은 대면취재를 통해 이뤄지고, 취재원과의 관계형성을 통해 기사를 작성해야 한다는 특징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AI 노출 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업무가 얼마나 많은 AI 특허를 갖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이에 따른 영향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 제조업 등 고생산성 산업을 중심으로 AI 노출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업의 무선 네트워크, 제조업의 장비·모니터링 솔루션 등에 AI 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숙박음식업, 예술·스포츠·여가 등 대면 서비스업은 예상대로 AI 노출 지수가 낮게 측정됐다.
아울러 지난 20여년 간(2000~2021년) 산업용 로봇과 소프트웨어가 도입된 이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하고, 임금 상승률도 낮아진 점에 비춰볼 때 AI 역시 대체 가능성이 큰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한지우 조사역은 "그 영향력이 AI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던 소프트웨어와 유사하다고 가정하면, AI 노출지수가 10백분위수(percentile) 높을 경우, 관련 일자리의 고용 비중은 7%포인트 줄어들고 임금상승률이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AI로 인한 생산성 증가는 전반적인 노동수요 증가와 임금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생산성 효과가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체효과는 특정 그룹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교육과 직업훈련 정책의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봤다. 결국 우리 사회가 AI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의 크기는 근로자들의 적응력과 정책 디자인에 좌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오 팀장은 "AI가 도입되면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기술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견고할 것으로 예상되나 동시에 사회적 기술, 팀워크 능력,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소프트 스킬(soft skill)이 앞으로 더 많은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AI 기술이 업무와 생활의 편리성을 가져다주지만 소비자 후생 감소, 이윤 독점 심화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AI가 적절한 규제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