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입금 만기, 4분기로 회사채 발행 미룬 기업 자금 조달 수요 많아
자금 집행 마쳤거나 평가손 상태인 기관 많아 채권 투자에 소극적
대유그룹 계열사 부도 사태로 저신용 회사채 투자 기피 현상
신용등급 A급 이하 기업, 투자 수요 확보 어려울 듯
시장금리가 하반기에도 상승 추세를 보이면서 기업들이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차환(재조달)에 비상이 걸렸다. 기관 투자가들의 채권투자 대기 자금은 갈수록 줄어드는 데 4분기에 차환 또는 상환해야 하는 회사채 만기 물량이 10조원을 훌쩍 넘어서기 때문이다. 최근 일부 기업이 회사채 발행에서 투자 수요를 확보하지 못하는 미매각 사태를 겪으면서 자금 조달 위기감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비우량 기업들은 대체 자금 조달 수단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4분기(10~12월)에 기업들(금융회사 제외)이 차환해야 하는 일반 회사채 만기 물량이 10조6000억원 규모다.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의 주식연계채권, 옵션부사채, 풋옵션(조기상환 청구권)이 있는 전환상환우선주(RCPS) 등을 포함하면 기업들의 회사채 차환 또는 상환 부담은 25조원에 육박한다. 월별로는 10월에 6조1000억원으로 회사채 만기 물량이 가장 많이 몰려 있다. 11월에 3조6500억원, 12월에 9000억원 등으로 연말로 갈수록 만기 물량이 줄어든다.
기업들은 만기 도래한 회사채를 차환하지 않으면 모두 현금으로 상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최근 공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 기업들이 대부분 만기 도래한 채권을 상환하기 위해 다시 회사채를 발행하고 있다. 최근 회사채를 발행했거나 현재 수요예측을 앞둔 SK텔레콤, SK온, HD일렉트릭, 롯데칠성음료, 연합자산관리(UAMCO), 평택에너지서비스 모두 증권신고서 자금 조달 목적란에 회사채 만기 상환으로 기재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차입금 만기에 대응해야 하는 기업이나, 3분기에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보고 회사채 발행을 미뤘던 기업이 4분기에 회사채 발행에 나서고 있다"면서 "10월부터 12월까지 회사채 상환을 위한 자금 조달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차입금 상환용 자금 확보 수요는 넘치는데 정착 기업들의 핵심 자금 조달 수단인 회사채 시장의 분위기는 좋지 않다. 금리 상승으로 채권 손실을 우려한 기관 투자자들이 채권 투자에 소극적인 스탠스로 전환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금리 정책으로 시장금리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하반기에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채권 투자를 많이 했던 연기금, 공제회, 보험사 등의 주요 기관 투자가들이 하반기 금리 상승으로 평가손실을 입고 있다"면서 "한동안 금리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채권 투자를 줄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더구나 연기금과 공제회 등의 대형 투자기관과 자산운용사들이 올해 자금 집행을 대부분 마친 상태다. 채권시장에 대한 추가 집행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회사채 공급은 늘어나는 상황인데 채권 투자를 위한 투자 대기자금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면서 "공기업과 은행들이 공사채와 은행채 발행을 늘리면서 우량 채권이 자금을 빨아들이는 구축효과 발생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신용등급 AA급 이상의 우량 기업의 경우 금리를 조금 높여 회사채 차환이 가능하겠지만, A급 이하의 비우량 채권은 차환용 회사채 발행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분기에는 2조8200억원 규모 A급 이하 회사채가 만기 도래한다. 이 중 충분한 투자 수요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A-등급 이하 회사채는 1조5200억원 규모의 만기가 대기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A급 이하 비우량 기업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미매각 사태를 겪는 사례가 늘고 있다. IB업계에 따르면 9~10월 국내 회사채 시장 수요예측 미달률은 A급 회사채가 47%, BBB급이 60.8%에 달했다. BBB급 기업의 경우 절반도 투자 수요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투자수요 양극화는 11월, 12월이 지날수록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유그룹 계열사 부도 사태로 낮은 신용도를 가진 회사채 투자에 대한 기피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 정혜진 신한금융투자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최근 국채 금리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데다,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되면서 비우량 채권은 계속 약세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은행이나 제2금융권 대출로 선회하거나 기업어음(CP) 등의 단기자금 시장으로 밀려나는 기업이 점차 늘어날 것"이라며 "최근 CP 시장의 금리 상승 추세도 단기자금 시장에 몰리는 기업들이 증가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이 관계자는 "기업의 자금 조달 만기가 단기화가 심화하면 자칫 유동성 위험에 처할 수 있어, 기업들이 재무전략에 상당히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정수 기자 agremen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ㄷ여대 출신, 걸러내고 싶다…며느리로 절대 안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