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돈 못 모으는 청춘'…청년도약계좌는 관심無, 청년희망적금은 해지多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청년적금상품, 文·尹정부에서 줄줄이 신설
가입기간 길고 목돈 붓기 부담에 관심 시들

'돈 못 모으는 청춘'…청년도약계좌는 관심無, 청년희망적금은 해지多
AD
원본보기 아이콘

"목돈 나갈 일이 있는 연령대가 타깃인데, 5년 적금은 상당히 길지 않냐는 하는 생각이 들어서 포기했어요." 경기도 양주에 사는 회사원 차진우씨(30)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을 해 승인까지 받았지만 계좌 만들기는 포기했다. 차씨는 "처음에는 일단 신청부터 해볼 생각이었다"며 "그런데 2년 내 결혼할 계획이라 목돈 나갈 일도 많은데 5년짜리 적금을 계속 유지하는 건 많이 부담스럽다"고 했다. 이어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정부는 한 달에 보조금 2만4000원 주면서 5년 동안 5000만원 모으라고 하면 모을 수 있는 청년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고 했다.


정부가 주도하는 '청년 목돈 만들기' 상품들이 작년부터 나왔지만 반응은 싸늘하다. 연 6% 이자로 5년에 최대 5000만원까지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계좌 개설자수는 작년 청년희망적금의 10% 수준을 겨우 넘겼다. 금리 9% 효과를 내 2년 동안 1000만원을 모으는 청년희망적금은 가입자 10명 중 2.5명이 해지했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성주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신청 건수는 8월까지 총 135만9000건이었다. 월별로 보면 6월 76만1000명→ 7월 44만명 → 8월 15만8000명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신청을 해도 관문은 또 있다. 소득과 재산 수준이 일정 수준 이하여야 가입 승인을 받을 수 있다. 7월까지 누적 승인자수는 총 61만5000명(6월 39만3000명, 7월 22만2000명)이었다.

'돈 못 모으는 청춘'…청년도약계좌는 관심無, 청년희망적금은 해지多 원본보기 아이콘

이 관문을 통과해도 다 가입하는 게 아니다. 가입승인 받은 청년들 중 계좌 개설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또 있기 때문이다. 8월까지 계좌 개설자수는 총 37만8000명이었다. 7월 25만3000명, 8월 12만5000명으로 이 또한 줄어들고 있다. 작년 2월 말 출시해서 한 달 만에 가입자수 284만4000명을 모았던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이다.


한 달에 70만원은 넣어야 5년에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는 다수 청년들에게 '넘사벽'(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월 50만원에 2년 약정기간인 청년희망적금마저 중도 포기하는 게 현실이다.

'돈 못 모으는 청춘'…청년도약계좌는 관심無, 청년희망적금은 해지多 원본보기 아이콘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작년 2월 출시 초기 289만5000명이 가입한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수는 올해 6월 217만4000명까지 감소했다. 가입자 10명 중 2.5명이 중간에 해지 한 것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이후 곧바로 가입자수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출시 석 달만인 작년 6월에 14만3000명이 해지했다. 그해 12월에는 15만3000명, 올해 6월에는 11만1000명으로 내년 2월 만기가 다가오고 있는데도 해지자수는 계속 10만명에 달한다.


이렇게 청년희망적금을 중간에 해지하면 만기 2년을 채워야 받을 수 있는 연 9% 금리 효과(은행 금리 5~6%, 저축장려금, 비과세혜택 등 포함)를 누리지 못한다. 김성주 의원은 "일반 적금상품보다 훨씬 높은 금리를 준다고 해도 가입을 유지하기 힘들어한다는 건 그만큼 청년들의 삶이 팍팍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좀 더 실효성 있는 청년 목돈 모으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