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논란 확산…콘텐츠 무단 사용 제한
로이터 통신, 뉴욕타임스, CNN 방송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의 정보 수집을 차단하는 사이트가 늘어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AI 콘텐츠 정보업체인 오리지널리티.AI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 1000개 중 챗GPT의 웹 크롤러를 차단한 사이트는 9.2%로 집계됐다. 웹 크롤러는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다.
오픈AI는 지난 7일 자사 웹 크롤러인 GPT봇을 공개하면서 정보 수집·이용을 원치 않는 사이트 소유자에게 GPT봇의 데이터 수집을 차단하는 방법을 안내했다.
GPT봇 차단율은 공개 후 첫 주인 지난 15일 5% 미만에서 2주 차에는 10%에 이르렀다. 이용자 수 등이 많은 주요 사이트 100개로 범위를 좁히면 차단율은 15%에 달했다. GPT봇을 차단한 사이트에는 로이터 통신, 뉴욕타임스, CNN 방송 등 언론사가 대거 포함됐다. 생성형 AI를 둘러싼 저작권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사전 동의 없는 챗GPT의 콘텐츠 무단 사용을 막기 위한 조치다.
오리지널리티.AI는 "GPT봇의 접근을 막는 사이트가 일주일에 5% 포인트 가량 늘어났다"며 "GPT봇 차단 사이트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샤넬 가방에 '주렁주렁'…고소득 여성들 '감정 소비'하는 32조 시장이 있다[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213284729674_17452961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