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책·민간 연구소의 엇갈린 경제전망…기업들 혼란 불가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상반기 극심한 부진을 겪었던 한국경제는 저조한 내수경기 및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지연으로 부진한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한국개발연구원(KDI)

기업들이 미래 투자 방향을 결정하고 경영전략을 세우는데 밑바탕으로 삼는 국책·민간 경제연구소의 경제전망이 엇갈려 기업들의 혼란이 불가피해졌다.

국책·민간 연구소의 엇갈린 경제전망…기업들 혼란 불가피
AD
원본보기 아이콘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민간 경제연구소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 2023년 3분기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역대 최저 수준인 1.3%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가 연내 흐름을 반전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봤다. 내수·수출 모두 동반 부진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경제성장률 1.3%는 금융위기(2009~2011), 코로나19(2020~2021)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숫자다.


장기간 점진적으로 진행된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성장 모멘텀 약화,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지연이 겹치면서 연말까지 경기 반등은 사실상 힘들어졌다는 분석이다. 한경연은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부재 ▲미 연준의 금리인상 지속 ▲부동산 불황으로 실물경기 위축 ▲부채 연체율 급등에 따른 금융위기 가능성 상승 등 경제성장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성장률의 0.1~0.2%포인트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반면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상황을 좀 더 낙관적으로 봤다. KDI는 이달 새롭게 수정해 제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지난 5월 제시한 1.5% 그대로 유지했다. KDI는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부진이 완화되고 있다"고 현 경제상황을 인식했다. 또 "상반기에 경기 저점을 형성한 후, 하반기에는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정부부문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문의 성장세가 확대됨에 따라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지난 1분기 대비 0.6%(연율: 2.4%) 증가하는 등 경기 회복 조짐이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경기 부진 완화는 자동차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폭이 줄면서 제조업의 성장세가 확대된 영향이라고 진단했다. 이에따라 기업들의 설비투자 역시 기존 전망(1.1%)과 유사한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미국 경제의 양호한 성장세가 유지됨에 따라 하반기 상품 수출 역시 기존 전망과 유사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도 했다.


이 역시 한경연과 보는 시각이 엇갈린다. 한경연은 제조업 성장세 확대 보다는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라 반도체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마이너스 2.3%로 역(逆)성장할 것이라는데 주목했다. 수출 역시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이라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진단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기업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명목임금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 역시 극도로 위축돼 내수 하방 압력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사실상 소비·투자·수출 등 국내 경제를 이끄는 '삼두마차'가 모두 약해지는 '트리플 약세'를 진단한 셈이다.


다만 우리 경제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는 국책·민간 연구소 모두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부재 및 중국의 경기 부진을 꼽았다. 우리나라가 공급망 다변화 등으로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만 아직까지는 의존도가 큰 만큼 중국의 경제성장 부진이 우리나라 경제에 직접적인 파급력을 나타낸다는 뜻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경기반등 무산 영향이 미국 등 주요 교역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밖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물가 상승세가 확대돼 주요국의 금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경기불황과 고금리 상황 지속에 따라 연체율 급등 및 금융기관 부실화로 금융위기 리스크가 커지는 것도 우리경제 성장을 제약하는 위험요인으로 지목됐다.


한국개발연구원은 1971년 정부가 세운 국내최초 사회과학분야 싱크탱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981년 전국경제인연합이 만든 국내 최대 민간 경제연구소다. 각각 정부와 민간을 대표하는 두 기관은 40년 넘게 협력과 경쟁을 되풀이해 왔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