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기료 폭탄 맞을듯”…폭염·요금 인상에 소상공인 울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기록적 폭염에 전기료 인상…부담 가중될 듯
소상공인들 “정부의 종합적인 지원책 있어야”

올여름 많은 소상공인이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여름철에 통상적으로 에어컨 등 냉방기 사용이 많은 데다, 코로나19 유행이 끝나면서 상점 등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기료 인상과 함께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어 현재 추세를 보면 소상공인들의 큰 부담은 불가피하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7~8월, 소상공인의 전력 사용량은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보인다. 6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일반용(갑)저압 기준으로 지난해 여름철(7∼8월) 월평균 전력 사용량은 1586㎾h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5월(1137㎾h)보다 39%(449㎾h) 늘어난 수치다. 일반용(갑)저압은 소상공인에게 주로 적용되는 전기요금이다.

일반용(갑) 저압은 지난해 여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h당 28.5원 인상됐다. 인상 전의 요금 기준으로 보면, 올해 여름에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전력을 사용할 경우 29만6640원이다.


그러나 인상 후를 적용하면 소상공인의 평균 전기요금은 34만8040원에 이른다. 올해 여름철 소상공인들의 전기요금 부담은 지난해 여름철보다 5만1400원(17.3%)이 늘어난 것이다.


또한 지난 6월 영업용·공공용이 포함된 일반용 전력 사용량은 작년 6월(9천978GW)보다 1.9% 늘어난 1만163GWh(기가와트시)였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가게와 상가 등의 전력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하면, 전기요금 인상과 사용량 증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전력 당국은 소상공인과 뿌리기업을 대상으로 여름철 요금 부담 완화 정책을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고효율기기·냉방기기 교체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 6월부터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소상공인 확인서를 발급받은 고객은 LED(발광다이오드) 등 8개 품목을 고효율기기로 교체할 경우 지원금을 1.5∼2배 상향해 받을 수 있다. 또 슈퍼마켓과 편의점 등 유통매장은 개방형 냉장고에 문을 달 경우 설치 면적(㎡)당 9만원씩 지원을 받는다.


정부는 고효율 냉방기기 교체 지원에도 300억원의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소상공인은 에너지효율 1등급 냉방기나 냉난방기 제품 구입 시 제품 가격의 40%를 지원받게 된다.


소상공인·뿌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요금 분납 제도도 있다. 이들은 6월∼9월분 전기요금을 2∼6개월로 나눠서 납부할 수 있다.


한전은 “소상공인들이 가게 문을 연 채 냉방기를 가동하는 것을 자제하고, 실내 온도를 26도로 준수하는 등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3일 성명서를 통해 “정부가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업종은 한정적이고, 전기료 분납 및 납부유예는 한시적인 조처에 불과하다”며 “하절기 요금 개편 등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