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방위 자금 조달 SK그룹…국내 첫 6800억 당좌수표 유동화 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SK하이닉스 적자, 배터리 투자에 그룹 차입금 105조 육박
단기 운영자금 부담 최소화 목적…추가 차입 없는 자금조달 수단 활용

전방위 자금 조달 SK그룹…국내 첫 6800억 당좌수표 유동화 왜?
AD
원본보기 아이콘

SK그룹 정유사업 부문 계열사들이 6800억원 규모의 당좌수표를 유동화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현금 지출 부담을 덜었다. 추가로 차입을 늘리지 않으면서 단기 운영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당좌수표 유동화 거래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의 대규모 적자와 이차전지 사업 투자로 차입금이 100조원을 훌쩍 넘어선 SK그룹이 최근 차입금·유동성 관리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대규모 당좌수표 유동화 …국내 첫 사례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에너지, SK인천석유화학, SK엔무브는 수협은행을 대상으로 총 6800억원어치의 당좌수표를 발행했다. 기업별 수표 발행액은 SK에너지가 4754억원, SK인천석유가 1688억원, SK엔무브가 333억원이다. 3개 회사 모두 SK그룹 중간 사업 지주회사인 SK이노베이션 자회사로, 정유 사업 관련 계열사들이다.

당좌수표는 은행에 당좌예금을 개설한 기업이 사전에 은행과 정한 한도 범위 내에서 발행하는 수표를 말한다. 주로 기업 간 결제 수단으로 활용된다. SK그룹 계열사들은 수협은행에 결제자금 대행 업무를 맡긴 후 수협은행 신탁을 대상으로 대규모 당좌수표를 발행했다.


수협은행은 당좌수표를 인수한 후 특수목적법인(SPC)에 신탁 수익증권(당좌수표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증)을 매각했다. 수익증권 매각 자금으로 SK그룹 계열사들을 대신해 결제 자금을 집행했다.

전방위 자금 조달 SK그룹…국내 첫 6800억 당좌수표 유동화 왜? 원본보기 아이콘

당좌수표 신탁 수익증권을 매입한 SPC는 수익증권을 기초자산(일종의 담보 역할)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했다. 유동화증권 투자자들이 SK그룹이 발행한 당좌수표에 투자한 셈이다. SPC 설립과 투자자 모집 등의 유동화 작업 주관은 부국증권이 맡았다.


IB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이 대규모 당좌수표를 유동화증권으로 발행하는 것은 역대 처음 있는 일"이라며 "SK그룹 입장에서는 당장의 대규모 현금 지출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단기 운영자금 조달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룹 차입금 105조 육박…차입금 최소화, 유동성 관리 목적

SK그룹 계열사들이 당좌수표를 유동화한 것은 일시적인 대규모 현금 지출을 줄이려는 재무 전략으로 풀이된다. SK그룹은 유동화 과정에서 당좌수표 결제를 오는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매월 분납하는 조건으로 했다. 당좌수표는 보통 수표 보유자가 현금 지급을 요청하면 곧바로 당좌 한도액 내에서 결제해야 하지만, 결제 지급 만기를 분산시켜 놓은 것이다.


또 그룹 차입금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목적도 깔려 있다. IB업계에 따르면 당좌수표 유동화는 당좌 한도 내에서 결제가 이뤄져 차입금으로 잡히지 않는다. SK인천석유화학은 차입금을 늘리지 않고 단기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5000억원 규모의 매출채권을 유동화하기도 했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연결 기준 SK그룹의 총차입금 규모는 105조원에 육박했다. SK하이닉스가 대규모 적자를 이어가는 가운데 반도체·이차전지 투자로 연간 20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Capex)를 집행하면서 차입금이 폭증했다. 이에 따라 투자가 본격화된 2018년 대비 차입금이 약 2.5배 증가했다.


올 들어 차입금 부담은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SK그룹은 2018년 이후 대규모 투자에 해마다 20조~24조원 지출했고, 지난해에는 32조원으로 규모가 더 늘었다. 올해 SK그룹이 7월 말까지 발행한 회사채만 8조4000억원어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SK에너지와 SK온 등을 계열사로 둔 SK이노베이션 계열의 경우 올해 배터리 부문 투자로 연간 6조~7조원의 투자 지출이 예상된다. 또 미국 포드와의 합작투자로 대규모 지분투자 부담도 발생했다.





임정수 기자 agremen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