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계열사 희망퇴직 후 고용 불안감 확산
"무리한 사업 확장 탓…경영진 책임이 우선"
카카오 노동조합이 단체행동에 나선다. 최근 계열사들이 진행한 희망퇴직을 두고 내부 불만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경영난은 경영진의 무리한 사업 확장 탓인데 임직원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 지회(크루 유니언)는 이번 주 초 입장자료를 내고 단체행동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노조는 최근까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계열사와 잇달아 설명회를 진행했다. 그 결과 희망퇴직 반대 행동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노조 움직임의 도화선은 희망퇴직이다. 계열사 중 적자 규모가 가장 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 17일 희망퇴직안을 공개하고 신청자를 받고 있다. 퇴직금과 최대 6개월 치 기본급, 지원금 200만원을 지급할 방침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경력 10년 이상 고연차 직원을 대상으로 사실상의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이·전직 프로그램 '넥스트 챕터'을 통해 퇴직금과 최대 15개월 치 기본급, 지원금 500만원 지급을 제시했다.
카카오 내부에선 희망퇴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경영진 책임 부담이나 사업 모델 수정 없이 구조조정부터 진행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희망퇴직 조건이 임직원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에도 불만이 크다.
구조조정 우려는 카카오 공동체 전체로 번지고 있다. 다른 계열사 상황도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카카오스타일(520억원), 카카오브레인(301억원), 카카오헬스케어(85억원) 등 주요 계열사가 적자다. 사업 모델이 정착하기 전 경기 침체로 외부 자금줄까지 말라 본사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는 지난 1분기 실적 발표에서 "경쟁력이 낮은 사업은 정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구조조정이 없다던 기존 방침과 달리 희망퇴직 실시를 갑작스레 통보하면서 다른 계열사들의 불안감을 높였다. 남은 인력들의 업무 부담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위원장은 "무리한 사업 확장의 실패는 경영진 검증이나 사업 확장이 너무 쉽게 진행됐기 때문"이라며 "이에 대해 경영진이 사과하고 책임지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IT업계에선 카카오를 주시하고 있다. 외국계 IT 기업이나 스타트업 외에 대형 플랫폼사까지 희망퇴직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간 업계에선 해당 사업부를 없애거나 기존 업무와 무관한 직무로 배치하는 식의 조직개편으로 구조조정 아닌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감원과 거리가 멀었던 플랫폼사에도 희망퇴직 신호탄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전역 1년 안 넘었으면 재입대"…'군필자 악몽' 같...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