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포스코, 2030년 양극재 100만t 리튬·니켈 67만t 생산 목표 상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제2회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
매출은 62조…작년 41조보다 51%↑
"2026년 이후 이익 창출 본격화"

포스코홀딩스가 2030년 양극재 100만t과 리튬·니켈 67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해 기존 목표치보다 51% 늘린 62조원의 매출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제2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를 개최하고 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성장비전과 목표를 발표했다. 포스코홀딩스 정기섭 대표이사 사장(전략기획총괄), 유병옥 부사장(친환경미래소재총괄), 홍영준 미래기술연구원 이차전지소재연구소장과 국내외 기관투자가,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정 사장은 “향후 3년간 그룹 전체투자비의 46%를 이차전지소재사업에 투자해 2026년 이후에는 본격적인 이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사업은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환경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가 선순환 하는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이라고 덧붙였다.


정기섭 대표이사 사장은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2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에서 "향후 3년간 그룹 전체투자비의 46%를 이차전지소재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정 사장이 지난달 19일 대만의 한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는 모습.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정기섭 대표이사 사장은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2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에서 "향후 3년간 그룹 전체투자비의 46%를 이차전지소재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정 사장이 지난달 19일 대만의 한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는 모습.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유 부사장은 “핵심원료부터 소재까지 ‘풀 밸류체인(Full Value Chain) 구축’, 생산능력증대와 고수익을 동시에 확보하는 ‘양적성장’,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와 기술개발의 ‘질적성장’을 통해 ‘2030 이차전지소재 글로벌 대표기업 도약’ 이라는 사업 비전을 실현하겠다”고 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 2030년까지 총매출액 62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발표한 목표치보다 51% 상향된 수치다. 세부적으로 ▲리튬 생산능력 총 42만3000t·매출 13조6000억원 ▲고순도 니켈 24만t 확보·매출 3조8000억원 ▲리사이클사업으로 리튬·니켈·코발트 7만t 생산능력 확보·매출 2조2000억원 ▲양극재 100만t 체제 구축·매출 36조2000억원 ▲음극재 37만t 체제·매출 5조2000억원 ▲차세대소재 9400t 등이다.

우선 리튬사업 목표는 세계 3위 리튬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투자한 염호와 광산을 기반으로 점토리튬 등 비(非)전통 리튬자원 등 사업영역을 확대한다. 아르헨티나 염호 3·4단계를 동시에 개발해 2027년까지 염호리튬 10만t 생산체제도 구축한다.


니켈사업에서는 경제성 확보가 용이한 인도네시아 등에서 제련사 합작과 기술개발로 공급망의 안정성 확보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등 글로벌 무역장벽에 유연한 대응을 준비한다. 리사이클사업에서는 핵심시장인 유럽, 미국 등에 글로벌 허브를 구축해 폐전지에서 원료를 가공해 다시 고객사에 공급하는 친환경 생태계를 선제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달 28일 포스코홀딩스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2단계 상공정 착공식을 마치고 참석자들이 감사인사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호세 이그나시오 연방 산업차관, 이용수 주아르헨티나 한국대사, 구스타보 사엔즈 살타주지사,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라울 하릴 카타마르카주지사, 페르난다 아빌라 연방 광업차관.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지난달 28일 포스코홀딩스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2단계 상공정 착공식을 마치고 참석자들이 감사인사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호세 이그나시오 연방 산업차관, 이용수 주아르헨티나 한국대사, 구스타보 사엔즈 살타주지사,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라울 하릴 카타마르카주지사, 페르난다 아빌라 연방 광업차관.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원본보기 아이콘

양극재사업에서는 국내 중심 생산 집적화로 투자 경쟁력을 확보하고 파트너십을 확대해 수주기반 글로벌 생산능력을 증대한다. 음극재사업에서는 천연·인조흑연, 실리콘계 등 전 제품 생산판매 체제를 구축한다. 차세대소재사업에서는 전고체 전지용 고용량 음극재로 리튬메탈 음극재 사업을 계획하고 있고, 고체전해질은 포스코JK솔리드솔루션의 생산라인을 기반으로 단계적인 생산능력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올해는 그룹 리튬 상업 생산 원년이다. 포스코HY클린메탈 리사이클링공장 완공에 이어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수산화리튬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후 염수리튬, 니켈 등 단계적 상업 생산으로 본격 이익이 발생하면 원료부터 폐배터리 리사이클까지 이차전지소재산업의 완전한 '친환경 자원 순환체계(Closed Loop)' 체계를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포스코그룹은 12~14일 홍콩과 싱가포르에서도 100여명의 해외투자가를 대상으로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를 연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