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장 확대·국제사회 제재 고려
올해 예정된 기업공개(IPO)도 의식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 등을 이유로 본사를 외국으로 옮기는 중국 기업이 증가했다.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해외시장을 염두에 두고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중국 기업이 많아졌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올해 안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에서의 기업공개(IPO)에 대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업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패스트패션 업계의 정상에 오른 중국의 패션 기업 '쉬인'이다. 2008년 설립된 쉬인은 최근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중국 난징의 기업 등록을 말소했다.
또 아일랜드와 미국 인디애나주에 지사를 설립하고 워싱턴DC에 로비대행업체와도 계약했다.
쉬인은 최근 성명을 통해 "우리는 세계 150개 시장의 소비자들을 상대로 영업하는 다국적 기업"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쉬인이 저렴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업체를 압도할 수 있었던 이유는 중국 내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값싼 섬유를 사용해 상품을 생산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이 같은 의혹은 1000억 달러(약 130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는 초대형 IPO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사 이전을 통해 중국 색(色)을 최대한 빼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의 해외 쇼핑 앱 '테무'는 본사를 보스턴에 설립했다. 지난해 9월 미국에 진출한 테무는 다양한 저가 상품을 앞세워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초에는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에도 진출했다.
테무의 모기업인 핀둬둬도 본사를 중국에서 아일랜드로 옮겼다.
전 세계 태양관 패널의 10%를 생산하는 중국 업체 '징코솔라'는 최근 생산 시설을 바깥으로 이전했다.
미국이 2012년부터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 신장웨이우얼 지역의 강제노동으로 생산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중국 업체의 태양광 패널 통관을 막는 등 수출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조치다.
다만 본사를 이전하면서까지 중국 색을 빼겠다는 중국 기업들의 '노림수'가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쉬인이나 테무는 본사를 이전했다고 하더라도 중국산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파는 한 중국기업이라는 인식을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 정치권에서 신장웨이우얼 지역의 강제 노동 문제에 대한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 마코 루비오 연방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성명을 통해 "쉬인이 아무리 숨기려고 하더라도 속을 사람은 없다"라고 지적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400만원이 47억 됐다"…젠슨 황 믿고 11년 버틴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