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음식물처리기 안전사고 급증… 소비자원 "주의 필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체 피해부위 중 손가락이 67.5%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음식물처리기 사용 중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면서 주의를 당부했다.


음식물처리기 안전사고 급증… 소비자원 "주의 필요"
AD
원본보기 아이콘

3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접수된 음식물처리기 관련 위해정보는 모두 1182건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전(2017~2019년 306건보다 876건(286.3%) 증가한 수치다. 소비자원은 코로나로 가정에서 요리를 하거나 배달로 식사하는 비중이 늘어난 것을 원으로 분석했다.

접수된 위해정보를 연령 별로 살펴보면 40대가 362건(30.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335건·28.3%), 30대(240건·20.3%) 순이었다. 이 가운데 안전사고가 발생한 위해정보 40건을 분석한 결과, 위해의 주된 원인 '제품관련'(24건·60%)이었다. 위해 증상으로는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26건(65%), 위해 부위는 '손가락'이 27건(67.5%)으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음식물처리기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예방 수칙으로는 영유아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음식물처리기를 설치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땐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집게 등을 이용할 것을 당부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