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러시아 금 수입 5723% 폭등
중국·튀르키예는 각각 20t 가량 수입
"러 금괴 재가공 후 서방 들어올 수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제대로 인해 영국 등 서방 국가에 금을 팔 수 없게 되자, 대신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등 다른 시장을 활로로 삼고 있다. 이들 나라에 헐값에 금을 넘겨 새 고객을 확보한 것이다.
25일(현지시간) 주요 외신들은 UAE가 2022년 2월부터 지난 3월 초까지 약 1년간 러시아로부터 75.7톤(t)의 금을 수입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인 2021년(1.3t) 대비 무려 5723% 폭등한 수치다.
이를 통해 지난해 러시아가 UAE에 금을 수출하며 벌어들인 돈은 43억달러(약 5조7000억원)가량으로 파악됐다.
UAE 다음으로 러시아산 금을 가장 많이 수입한 나라는 중국, 튀르키예 순이었다. 중국과 튀르키예는 같은 기간 러시아산 금을 각각 20t씩 수입했다. 이 세 나라가 러시아산 금 수요의 99.8%를 차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강도 높은 경제 제재로 서구 국가에 금을 팔 수 없게 된 러시아는 대신 중국 등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특히 매체에 따르면 러시아는 UAE에 금괴를 대량 수출할 때 개당 가격을 약 1% 할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대러 제재를 우회해 다른 나라로 팔린 러시아산 금이 재가공돼 다시 서방 국가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루이스 마레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금 전문가는 "러시아 금이 녹여지고 재주조된 후, 원산지가 가려진 채 미국이나 유럽 시장에 다시 유통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 제재가 약화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가 전쟁에 사용할 자금을 확보하게 될 위험도 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카페라떼 한 잔 가격이…" 잠잠하던 폴 바셋도 결...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