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기사가 두 병 한 번에 투여하라고" 증언
"당뇨병 앓았던 서세원…10mL도 심정지 와"
캄보디아 병원에서 지난달 갑작스레 사망한 고(故) 서세원에게 프로포폴을 주사했다는 현지 간호사의 증언이 나왔다.
18일 MBC ‘실화탐사대’에 따르면 지난달 캄보디아의 한 병원에서 서세원에게 직접 수액 주사를 놓은 간호사가 "(서세원에게) 비타민을 주사한 뒤 프로포폴을 투약했다"고 밝혔다. 프로포폴은 내시경 검사 등을 위한 수면유도제로, 오·남용 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국내에서는 마약류관리법에 의해 치료목적 등에 제한된다.
그러나 캄보디아 현지에서는 약국에서 아무 제약 없이 프로포폴을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간호사는 “서세원이 내게 그걸(프로포폴) 가져왔다. 이미 개봉돼 있었다”며 “서세원의 운전기사로부터 '서세원이 일주일에 두 번씩 50mL 프로포폴 두 병씩을 맞는다'며 '한 번에 투여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다만 당시 서세원에게는 차량 자체가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간호사에게 해당 지시를 내린 사람은 서세원의 동업자인 김 모 씨의 운전기사로 추측된다. 이에 제작진이 김 씨에게 “서세원이 프로포폴을 맞은 게 확실하냐”고 묻자 “프로포폴 자체가 없는데 어떻게 확실하냐”며 부인하는 대답이 돌아왔다.
수면내시경에 사용되는 프로포폴의 양은 성인 남성 기준 3~5mL로 알려져 있다. 이를 두고 김덕경 성균관대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당뇨병을 앓는 서세원의 건강 상태라면 8~10mL만 맞아도 호흡 억제, 심정지가 올 용량”이라며 “(100mL를) 한 번에 맞았다면 당연히 사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세원은 지난달 20일 캄보디아의 한 병원에서 수액을 맞다가 갑작스레 사망했다. 현지 경찰이 밝힌 사인은 당뇨에 의한 심정지였다. 고인의 사망 사실이 알려진 후 현장에서 발견된 '하얀 수액'에 대해 프로포폴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된 바 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조기대선 '경고장' 날아왔다…尹 탄핵 심판 선고 전 4·2 재보선 참패한 與 [정국돋보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810145687798_174312449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