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금융권 기업 연체율, 7년만에 최고 기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금융권의 기업 연체율이 약 7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고, 은행 전체 연체율도 2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금융권(은행+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잔액은 모두 1874조원에 달했다. 은행 1221조6000억원,비은행 652조4000억원이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코로나19 직전 2019년 4분기(1263조5000억원)와 비교해 3년 새 48.3% 늘었다.특히 2금융권 기업 대출은 같은 기간 357조2000억원에서 652조4000억원으로 82.6% 증가했다.


은행권의 기업대출 차주(대출자) 수 역시 작년 4분기 현재 사상 가장 많은 350만명까지 불어있다. 3년 전(230만명)보다 52.2% 급증했다.


2금융권(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을 중심으로 기업 대출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81%)보다 0.43%포인트 상승했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업권별 연체율은 저축은행(2.83%), 상호금융(3.30%), 보험사 0.15%,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탈 등) 1.01%인데, 특히 상호금융의 경우 2020년 1분기(3.19%) 이후 처음 작년 4분기 연체율이 3%를 넘어섰다.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도 2019년 3분기(1.1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은행 연체율도 2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6%로 한 달 새 0.05%포인트 올랐다. 2020년 8월(0.3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업계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5%를 넘기면서 건전성 우려가 나온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 등인 부실채권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NPL 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4.04%)에 비해 약 1.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