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 운영 추정 유튜브 계정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북한 유튜버 '연미'가 우리 고유음식인 김치를 중국식 채소 절임 '파오차이'라고 말해 논란이다.
북한은 최근 체제 선전, 대외 홍보 등을 위해 유튜브 브이로그 형식의 콘텐츠를 적극 활용 중이다. 최근에는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튜브 채널 'New DPRK'에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연미를 내세웠다.
11일 공개된 '북한 소녀 전통 만두 만들기, 맛있는 요리법 공유'라는 제목의 영상이 문제가 됐다.
이 영상에서 연미는 자신이 직접 요리하는 과정을 공유하면서 "김치는 독특한 전통음식이다. 조선인들은 김치 없이는 행복할 수 없다"며 "김치 만들기는 식은 죽 먹기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다"고 말했다.
이때 연미는 김치를 '파오차이'라고 언급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밖에도 그는 만두를 만드는 영상 속에서는 중국식 표현인 '자오쯔'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일부 중국인들은 몇 년 전부터 "김치는 중국의 파오차이로부터 기원했고, 따라서 김치의 종주국은 중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20년 11월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절임 채소 '파오차이'가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국제표준 인가를 받았다며 "중국의 김치 산업이 국제 김치 시장의 기준이 됐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기도 했다.
최근 박채린 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동북아역사 리포트'에 실은 '음식도 발효를, 생각도 발효를'이라는 글에서 "혹한기 채소를 장기 보관해 두고 필요할 때 먹고자 부패를 막는 효과가 큰 소금에 절여둔 것"이라며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았던 ‘원시형 절임’은 인류 보편적인 문화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3세기부터 중국과 한국은 각자의 노선을 걸었다"며 "중국에서는 발효 기술이 적용된 식초, 술 등을 활용한 방법 위주로 발달했고 한국은 소금과 장을 절임 원료로 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라며 중국인이 주장하는 '김치 종주국' 설에 선을 그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