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소 효도밥상 제공기관 75세 이상 독거 어르신 대상으로 24일부터 시범 운영 시작
박강수 구청장 “단순한 밥 한끼 아닌, 원스톱 어르신 복지행정서비스를 위한 첫 단계”
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24일 서강동 1호점부터 공덕동 1호점까지 총 7개 주민참여 효도밥상 운영기관을 개소, 효도밥상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주민참여 효도밥상은 노인층의 결식과 고독을 방지하기 위해 75세 이상 구민이라면 누구에게나 영양 담긴 점심 한 끼를 무료로 제공하는 민선 8기 역점사업으로 24일 드디어 따끈한 첫술을 뜨게 됐다.
시범운영 급식 기관은 총 7개로 ▲공덕동 1, 2호점은 아현노인복지센터,아현실버복지관 ▲용강동 1호점은 용강노인복지관 ▲염리동 1호점은 마포아트센터(순이푸드) ▲대흥동 1호점은 우리마포복지관 ▲신수동 1호점은 밤섬한식부페 ▲서강동 1호점은 시립마포노인종합복지관에 있다.
7개 기관 입구에는 ‘마포구민이 어르신들께 차려드리는 효도밥상’이라고 쓰인 현판이 게시돼 앞으로 효도밥상을 받게 될 지역 어르신들을 반갑게 맞을 예정이다.
이날 시립마포노인종합복지관에 위치한 서강동 1호점에서는 30여명의 독거어르신들이 첫 효도밥상을 받았다.
식사를 마친 한 어르신은 “혼자 밥을 해서 먹는다는 게 너무 번거로워 거르는 일이 많았는데 오늘 여럿이 함께 식사하니 밥도 맛있고 식사시간도 즐겁다”며 “자녀들도 하기 힘든 일을 지역이 대신해 주는 것 같아 참 고맙고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앞으로 시범운영 대상 독거어르신들은 지정된 급식기관에서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주 6회 다양한 식재료가 활용된 급식을 받게 된다.
그간 마포구는 자치구 최초로 시행되는 효도밥상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홍보대사 이재용 총주방장과 홍보단 300여 명을 통해 효도밥상 사업을 널리 알리고 배식과 어르신 말벗 역할을 책임질 봉사단 300여 명을 위촉, 교육을 하는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해왔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주민참여 효도밥상은 어르신들께 단순한 밥 한 끼를 무료 제공하는 취지를 넘어선다” 며 “결식과 고독을 방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향후 어르신들의 건강, 심리상담 등 일상 관리까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 어르신 복지행정서비스를 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은평구, 구민 중심 은평형 스마트도시 조성 첫발
21일 스마트도시 정책자문위원회 첫 정기회의 개최
위원회는 대학·기업 등 민간 전문가 포함 20명 구성…스마트도시 계획 등 협의·자문
김 구청장 “스마트도시 조성해 도시경쟁력 강화와 구민 삶 증진”
은평구(구청장 김미경)는 ‘스마트도시 정책자문위원회 제1차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스마트도시’란 일반적으로 IC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 모델을 말한다.
은평구는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구민 편의 증진을 위해 ‘은평형 스마트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다양한 정책 의견 수렴을 위해 조례에 근거한 법정 기구 ‘스마트도시 정책자문위원회’를 올해 처음 구성했다.
위원회는 총 20명으로 위원장인 신종우 부구청장 포함 당연직 위원 9명과 민간위원 포함 위촉직 위원 11명으로 구성됐다. 위촉직 위원은 구의회, 대학, 기업체, 학회 등에서 스마트도시·도시계획·정보통신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을 추천받아 위촉했다.
주요 역할은 ▲스마트도시 계획 ▲스마트도시 정책연구 및 개발 ▲스마트도시기반시설의 관리·운영와 재정 확보 방안 ▲주민참여 활성화 등과 관련한 협의·자문을 담당한다.
지난 21일 열린 정기회의에서는 신규위원 위촉장 수여와 함께 ‘은평구 스마트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보고를 진행했다. 스마트도시 마스터플랜의 수립 추진방향 등에 대한 열띤 논의가 이뤄졌다.
그간 은평구는 안전, 보건, 자원순환, 재난재해, 교통안전 등 다양한 분야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며 스마트도시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인공지능 X-ray 영상 판독, 인공지능 대형폐기물 처리, 스마트 스쿨존 횡단보도 인프라 구축 사업은 대통령상을 비롯해 지방행정혁신 사례로 선정되는 등 많은 수상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스마트도시 조성을 통해 도시경쟁력과 함께 구민 삶의 질도 향상되길 기대한다”며 “신성장 동력 창출과 활력있는 지역경제 육성을 위해 위원님들의 아낌없는 조언과 자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조기대선 '경고장' 날아왔다…尹 탄핵 심판 선고 전 4·2 재보선 참패한 與 [정국돋보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810145687798_174312449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