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내 AI 기업 매출 4조 육박…해외 공략은 걸음마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기로에 선 韓 AI]①
AI 생태계 조성 본격화…국내 기업에 기회
"초기 앱시장처럼 조 단위 매출 쏟아질 것"

지난해 국내 AI 기업이 거둔 매출이 4조원에 육박했다. AI 관련 기업 수가 늘고 이들이 제품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결과다. 그러나 해외 공략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은 본격적인 AI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국내 기업들도 발빠르게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AI 기업 매출 껑충…해외 비중은 6%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표한 '2022 인공지능 산업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 AI 관련 사업을 하는 국내 기업들은 총 3조970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2020년 1조9506억원에서 2배 이상 커졌다.

AI 기업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한 결과다. 일단 AI 기술 개발, AI 적용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 등 AI 분야 기업들이 많아졌다. 2020년 933곳에서 지난해 1915곳으로 늘었다. 이들 가운데 매출이 발생한 기업 비중은 지난해 84.8%를 기록했다. AI 연구개발에 쏟아 부은 돈과 노력이 실적에 잡히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이 비중은 2020년 62.6%에서 20%포인트 가량 증가했다.


국내 AI 기업 매출 4조 육박…해외 공략은 걸음마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외 매출 비중은 10% 미만이었다. 지난해 해외 매출은 2539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6.5%를 차지했다. 2020년 859억원(4.5%), 2021년 1342억원(5.3%)로 성장하고 있지만 해외 공략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뗐다는 분석이다. 대부분 국내에서 성공 가능성을 검증하고 해외에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물론 해외부터 공략해 성공한 경우도 있다. AI 업무 솔루션 기업 올거나이즈나 영상 번역 솔루션 기업 XL8이 대표적이다.


AI,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털(VC) 퓨처플레이의 권오형 대표는 "AI를 연구해 만든 서비스를 상용화한 기업이 많아졌다"며 "AI가 주목 받자 AI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판 깔린 AI 시장…"조 단위 매출 쏟아질 것"

업계는 AI 시장 개화가 이제 시작이라고 본다. MS, 구글, 메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초거대 AI 모델을 앞다퉈 공개하며 판을 깔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챗GPT 출시를 기점으로 이를 접목한 서비스들이 쏟아지고 있다.


국내에선 네이버, 카카오 가 자체 AI 모델에 기반한 AI 검색 서비스를 연내 출시할 예정이다. 스타트업들은 챗GPT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API란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도구다. 구현하려는 서비스에 따라 레고 블록처럼 여러 API를 조합하게 된다. AI 여행 플래너(마이리얼트립), 세금 신고 서비스(자비스앤빌런즈), 작문 서비스(뤼튼) 등이 챗GPT를 활용했다.


AI 개발 속도전이 시작되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란 평가다.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스마트폰 출시 이후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열렸던 것처럼 AI 분야에서도 새로운 서비스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쉽게 말해 제 2의 카카오톡, 라인이 등장할 수 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프라이머의 노태준 파트너는 "우선 AI가 번역 등 기존 모바일 서비스를 상당 부분 대체할 것"이라며 "초기 앱시장처럼 하루 아침에 조 단위 매출을 올리는 기업들이 등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마케팅 영상 생성 AI 기업 브이캣의 전찬석 공동대표는 "GPT나 스테이블 디퓨전 등 생성형 AI 개발 도구들이 나오면서 기술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며 "이제는 기술을 얼마나 잘 내재화하고 얼마나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놓느냐에 따라 경쟁력이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빅테크가 주도하는 AI 생태계에 끌려다닐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예를 들어 챗GTP 사용 비용을 급격하게 올리거나 데이터 주도권을 가져가려 한다면 국내 기업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이를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 대표는 "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곳은 소수 빅테크에 불과하기 때문에 GPT와 같은 인프라에 일정 부분 종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