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접속을 차단했던 이탈리아 당국이 일련의 데이터 보호 요건이 충족된다면 이달 말 차단을 해제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파스콸레 스탄치오네 이탈리아 데이터 보호청장은 18일(현지시간) 일간지 '코리에레 델라 세라'와의 인터뷰에서 "개발사인 오픈AI가 유용한 조치를 할 의지를 보여준다면 오는 30일 챗GPT에 대한 접속을 다시 허용할 준비가 돼 있다"며 "회사 측에도 이러한 의지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챗GPT는 미국의 비영리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으로 지난해 11월 출시되자마자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빠른 발전 속도와 급속히 확대되는 사용자 규모를 감안할 경우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없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탈리아 당국은 챗GPT의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을 이유로 서방 국가 중 최초로 챗GPT에 대한 접속을 차단했다. 러시아, 중국, 북한, 쿠바, 이란, 시리아 등 국가를 제외하면 유일한 챗GPT 차단국이다. 이에 대해 이탈리아 당국은 챗GPT가 방대한 양의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글을 생성해내는 AI 챗봇으로 학습 과정에서 개인 정보가 섞여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이탈리아 데이터 보호청은 지난 12일 챗GPT 개발사인 미국의 오픈AI에 서비스 재개를 위한 선행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보호청은 챗GPT가 사용하는 논리 배열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끔 자사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한편 챗GPT가 부정확하게 생성한 개인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추가할 것과 연령 확인 시스템 도입을 요구했다.
보호청은 오는 30일까지 오픈AI가 내놓는 조치를 살핀 후 접속 차단 해제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이탈리아 당국의 조치를 시작으로 유럽연합(EU)에서도 챗GPT 등 첨단 AI에 관련한 입법이 논의되는 등 본격적 규제가 시작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스탄치오네 보호청장은 "긴급한 조치가 필요했기 때문에 이탈리아가 단독으로 챗GPT를 금지했다"며 "유럽의 결정에 의존했다면 최소 3∼4개월은 지연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샤넬 가방에 '주렁주렁'…고소득 여성들 '감정 소비'하는 32조 시장이 있다[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213284729674_17452961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