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와 크레디스위스(CS)의 유동성 위기로 국제 금융시스템이 흔들리면서 자산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달러화에 대한 신뢰가 일정 부문 무너지면서 외화예금이 급감하고 있지만, 금(銀) 또는 가상화폐와 같은 대체 자산이 급등하고 있는 양상이다.
24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지난 20일 종가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온스 당 1988.53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SVB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 10일(1830.37달러) 대비 8.6%(158.16달러) 상승한 것이다.
국제 금 시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지난해 10월 온스 당 1600달러대로 추락했으나, 강달러 기조가 잦아들면서 상승세를 보여왔다. 이후 1800달러에서 횡보하다 SVB 사태를 계기로 급등세가 나타나고 있다.
금값이 치솟으면서 관련한 차익 실현 및 투자도 이어졌다. 이달 1~20일 기준 국내 3개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의 골드뱅킹(금 통장) 잔액은 5348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말(5168억원) 대비 180억원 증가한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골드뱅킹 계좌 수와 중량(kg)이 감소추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보유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값 상승이 차익 실현 물량을 상쇄하고도 남았단 의미"라고 설명했다.
골드뱅킹 외 금 상장지수펀드(ETF) 종목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금융결제원 등에 따르면 금 ETF 종목인 ‘KODEX 골드선물(H)’에도 불과 10여일 새 116억원(20일 기준)의 자금이 쏠린 것으로 전해진다.
가상자산의 대표 격인 비트코인도 대체 자산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만7720.5달러로 열흘 전 대비 37.5%가량 상승했다.
반면 금과 함께 안전자산의 대표 격으로 취급되는 달러화는 요동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0일 종가 기준 1324.20원이었으나 SVB 사태가 알려진 직후인 13일엔 1301.80원까지 하락했다. 23일에는 29.4원 급락해 1278.3원에 마감했다.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달러화 예수금 잔액 역시 550억 달러로 20일새 11억 달러(1.9%) 줄었다. 지난 1월 말(611억 달러) 대비로는 61억달러(9.9%)나 감소한 것이다.
금 시세가 급등한 것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SVB의 뱅크런과 파산이 뉴욕 시그니처은행의 파산, 미국 정부 및 연방준비제도(Fed)의 개입, 글로벌 투자은행(IB)인 CS의 유동성 위기 및 피인수로까지 이어지며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불확실성이 커졌고, 대체 자산으로서의 금의 가치가 재부각 됐다.
가상자산 가격 상승도 비슷하다. 가상자산 특성상 아직 안전자산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국제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이 가속화 하면서 ‘대안화폐’를 표방하는 가상자산의 특성이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SVB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 원자재 가격도 정상화 궤도를 밟으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대체 자산으로 옮겨가는 흐름"이라면서도 금 등에 대한 투자에 대해선 "다만 Fed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긴축 속도를 완화할 가능성이 크고, 금값 역시 고점에 다다른 만큼 투자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콧물날 때 먹는 거 아니었어?'…심각한 위협된다...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