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찐비트]구글 "주2일 사무실 출근, 책상은 공유"…비용절감 나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하이브리드 근무제와 연동해 공간 효율화 추진

편집자주[찐비트]는 '정현진의 비즈니스트렌드'이자 '진짜 비즈니스트렌드'의 줄임말로, 일(Work)의 변화 트렌드를 보여주는 코너입니다.
[찐비트]구글 "주2일 사무실 출근, 책상은 공유"…비용절감 나서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비용 절감에 집중하고 있는 구글이 일부 직원들에 책상을 다른 직원과 함께 사용하라고 지시했다. 직원들이 사무실 복귀를 원치 않는 상황에서 재택근무와 사무실 출근을 섞은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 맞춰 사무실 공간 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놓은 방안이다.


22일(현지시간) CNBC방송은 구글 내부 직원에게 공유된 자료를 인용해 이렇게 보도했다. 기존에 회사가 요구했던 주 3일 사무실 출근 기준을 완화해 주 2일로 바꾸고 직원들이 서로 출근하지 않는 날에 엇갈려서 같은 책상을 사용하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월·수요일에 사무실로 나오는 직원은 화·목요일 출근자와 한 책상을 쓰는 방식이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클라우드 오피스 에볼루션(CLOE)'으로 이름이 붙은 이 책상 공유 시스템은 클라우드 부문을 담당하는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적용 대상 직원은 200~300명의 클라우드 부문 직원과 재무, 인사운영 등 다른 부문의 파트너 직원들이 될 예정이다. 이들은 '이웃(neighborhood)' 관계를 맺고 이 이웃 관계를 담당하는 직원도 별도로 둔다.


구글은 안내문에서 "대부분의 구글러는 다른 구글러와 책상을 공유하게 될 것"이라면서 "매칭 프로세스를 통해 기본적인 책상 상태에 대해 합의를 보고 책상 공유자와 사용 관련 기준을 설정해 새로운 공유 환경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예상치 못한 일정에 사무실로 출근하게 되면 미리 마련해둔 자유석에 앉는다.

구글이 CLOE라는 시스템을 도입한 건 하이브리드 근무 도입 과정에서 사무 공간을 효율화해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책으로 풀이된다. 구글 경영진은 이번 조치의 이유로 '부동산 효율성'을 언급했다. 이 조치가 단기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면서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근본적인 조치라는 입장도 내놨다.


이 제도는 워싱턴주 커크랜드, 뉴욕,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 등 미국 내 5개 지역에서 실시된다. 구글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올해 1분기 사무공간 축소와 관련해 5억달러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의 사무실 공간을 줄일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CNBC는 전했다.


CNBC는 "클라우드 부문이 정규직 인력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조직의 성장 속도가 빠르지만, 수익성은 좋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4분기 구글 클라우드의 매출 규모는 73억2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순익 기준으로는 오히려 분기마다 수억달러 규모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9월 회사의 효율성을 지금보다 20% 개선한다고 밝혔다. 이후 올해 1월 1만2000명을 감원한다고 발표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