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침략 전쟁", "시진핑 종신집권"
중국 공산당, 당에 비판적 정보 확산 우려
중국 인공지능 개발 좌초 가능성 높아져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중국 당국이 텐센트 등 주요 IT 기업에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고 23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전했다. 당국은 챗GPT가 공산당에 대한 비판적인 정보를 전달할 것으로 우려해 이런 조처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는 중국 IT 업계와 관련된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텐센트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계열사인 앤트 그룹에 자사 플랫폼에서 챗GPT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게끔 지시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지난 12월 중국의 빅테크 기업인 텐센트가 자사의 소셜미디어 서비스인 위챗에서 챗GPT 접속을 차단한 것도 당국의 지시에 따른 조치라고 전했다. 현재 중국에서 챗GPT를 이용하려면 가상 사설망(VPN)으로 당국의 검열시스템인 '만리방화벽'을 뚫어야 한다.
이 밖에도 중국 당국은 챗 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도 사전에 규제 당국에 보고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가 챗GPT에 강한 경계감을 드러내는 배경에는 공산당 지도부에 대한 비판적 정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있다. 앞서 지난 3일 중국의 AI 챗봇인 '챗위안'은 출시 사흘 만에 법률과 정책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된 바 있다.
대만 타이완 뉴스에 따르면 챗위안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러시아의 침략 전쟁'이라고 답했다. 이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러시아의 침략 전쟁으로 규정하지 않는 중국 정부의 입장과 상반된 견해다. 또한 시진핑 국가주석의 종신 집권에 대한 의견을 묻는 말에는 "중국 공산당의 중요한 제도"라고 답했다. 중국 내에서 종신집권은 금기시되는 주제다.
니혼게이자이는 "챗GPT는 답변을 내놓기 위해 서구권의 데이터를 주로 분석하는데, 이 데이터에는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많이 담겨 있다"며 "대화형 AI는 지도부에 대한 비판적 답변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어, 당국이 대응이 나설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당국이 AI 챗봇에 강경한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중국 IT 기업들의 관련 서비스 개발이 좌초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는 챗 GPT와 유사한 AI 기반 챗봇인 '어니봇'을 개발 중이다. 게임회사 넷이즈(왕이)와 알리바바 또한 챗 GPT와 유사한 기술을 연구 중이며 내부 테스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삼성 시총 140조 증발하고 포스코 반토막 날때 오...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