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 '환경공무관'은 차도·인도 등의 거리나 공공건물·학교·병원·사무실·아파트 등 건물을 청소하는 전문가다. 쓰레기를 청소·수거하는 단순한 청소노동자라는 의미의 '환경미화원'에서 직명을 바꾼 것이다. 시민들이 하루를 시작하기 전부터 거리나 사무실 등을 치워주는 이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표하고, 사기를 높여주는 방안의 하나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환경미화원이라는 직명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정부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 중이다. 서울시는 2016년 노사 단체협약에서 이 직명을 '환경공무관'으로 바꿨고, 부산 남구는 2019년에 직명을 변경했다. 이밖에 부산 해운대구, 서울 양천구, 경북 상주시, 대구 중구 등도 직명을 바꾸면서 전국으로 사용이 확산하는 추세다.
환경공무관은 지역별로 상황과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새벽 3시 출근, 오전 11시 퇴근하거나, 교대근무로 주 5~6일 근무한다. 지자체별로 채용하는데 만 20세 이상 55세 이하의 신체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발한다. 지자체에 따라 모집 경쟁률이 20대 1을 넘기도 한다. 100m 달리기, 모래주머니 들고 달리기, 악력 측정 등 체력시험도 만만치 않다.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면서 이 분야에도 도전하기 위해 별도로 체력 시험 준비를 하는 경우도 많다. 초과근무수당이나 위험수당이 있어 공무원치고 초봉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정년도 보장된다. 무기계약직으로 분류돼 월급과 연봉은 호봉 수에 따라 지급된다.
다만 업무는 고되다. 새벽이나 밤늦게 일하기 때문에 업무시간 사이사이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지만, 아직 이들을 위한 휴게시설은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서울시는 21일 환경공무관의 처우 개선을 위해 명절 상품권과 휴가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설날과 추석 명절에 1인당 5만원의 상품권을 지급하고, 여름 휴가기간에는 휴양소 이용비를 1인당 7만5000원씩 줄 수 있도록 예산 6억2000만원을 투입한다. 대행업체 소속 환경공무관에게는 직접 비용을 지원할 수 없어 자치구와 업체가 맺는 계약 원가에 복리후생비를 추가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휴게시설도 개선한다. 자치구 신청을 받아 청소구역과 동선을 고려해 최적의 휴게실 위치를 선정한 뒤 1인당 1.5㎡ 이상이면서 인원수에 맞는 규모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시설개선비 9억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휴식뿐 아니라 샤워·세탁까지 할 수 있는 휴게시설 30여곳을 연내 확보·개선할 계획이다. 또 청소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기전동카트 등 친환경 청소 장비 155대를 보급하고 안전교육 운영비도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 환경공무관은 지난달 기준 총 6775명이고, 이 중 자치구 소속은 2534명, 나머지 4241명은 민간 위탁업체 소속이다. 길거리 청소를 주로 하는 자치구 환경공무관과 달리 민간 업체 소속 공무관은 종량제 쓰레기 등을 운반·수집하는 일을 주로 해 상대적으로 노동 강도가 세고 근무 환경도 열악하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韓재계 최초 트럼프 취임식 초청 받았다…'미국통'...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