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엔데믹 시대 M&A "조직문화·공급망·신기술이 성패 가를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삼일, 코로나19 이후 M&A 트렌드 보고서 발간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코로나19로 촉발된 각종 사회 변화로 인해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 시대 기업 인수·합병(M&A)시장에서는 재택근무 등 유연한 조직문화를 통해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적극 포용하고 수직적 공급망 통합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업, 각국의 규제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ESG(한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을 통해 사회적 신뢰를 얻은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은 몸값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마찬가지로 이 같은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M&A 시장에서 유력한 매수자로 떠오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삼일PwC는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이후 주요 사회적 변화에 따른 M&A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보고서에서 다음 5개의 주요분야(▲공간과 인력 ▲공급망 ▲소비자 행동 ▲규제 ▲ESG)에서 일어나는 변화로부터 M&A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가 촉발되고 있다고 분석하며, M&A 시장에서 활동하는 이해관계자들이 실제 딜을 준비하고 추진할 때 반영해야 할 새로운 관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재택근무 등 유연한 조직문화, ESG 추구하는 기업이 몸값도 더 높아질 것

삼일PwC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개인과 집단의 행동, 기업활동 그리고 사회적 규범에서 광범위하고 근본적인 변화를 촉발했다"며 "이러한 변화는 고객 및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및 기업의 운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M&A 시장에서도 지금까지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을 버리고 새롭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이 다수 등장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9·11테러로 인해 전 세계 운송 및 보안 체계가 바뀌었고 2003년 사스(SARS) 사태로 중국 소비자들의 쇼핑 방식이 변화하면서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이 급성장한 것처럼 위기는 변화를촉진시킨다"면서 "코로나19의 사회적, 경제적 충격은 앞으로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M&A 시장의 매수자, 피인수자, 딜메이커, 투자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시작과 자세로 M&A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장 먼저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하게 번진 재택근무열풍과 이로 인한 조직문화 변화가 기업 인수 통합과정에서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그동안 M&A 과정에서 근무환경이나 조직문화는 M&A 성패에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었으나 이른바 MZ세대들의 등장으로 인해 앞으로는 M&A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M&A 후 조직문화가 맞지 않을 경우 핵심 인력의 대거 이탈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인력과 조직에 대한이해와 관리가 M&A 초기부터 고려돼야 할 사항으로 지적됐다.

코로나19 이후, 미중갈등 및 우크라이나 전쟁 등 신냉전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각 국가별로 광범위한 규제 변화가 예상된다는 점도 M&A 시장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 등장했다. 전 세계가 블록화되는 가운데 팬데믹의 최대 수혜산업인 IT와 빅테크 기업들이 급성장하면서 각국별로 개인정보 보호 강화, 빅테크에 대한 반독점 규제 등이 M&A의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더불어 ESG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요구와 주주가치, 투자자보호 등에 대해서도 딜 메이커들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삼일 PwC는 보고서에서 강조했다.


삼일PwC 딜 플랫폼을 이끌고 있는 탁정수 파트너는 "역사적으로 큰 위기는 급격한 변화를 촉진시켰다. 그 일례로 2003년 사스는 소비자의 쇼핑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그과정에서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이 급성장하는 기회를 얻었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변화된 사회 트렌드는 앞으로도 그 속도를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M&A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은 조직문화, 공급망, 소비자, 규제, ESG 등주요 핵심 사항에 대해서 기존의 시각과 다른 관점에서 보다 면밀하고 복합적인 솔루션으로 적극 대응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