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사진에 해상도 낮아 위성사진으로 분류하기엔 미흡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1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공개한 용산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삼각지 일대. 2022.12.19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북한이 정찰위성 사진을 공개했지만 현실적으로 정찰위성으로 보기엔 형편없는 기술수준이란 평가다. 공개한 사진에 눈이 없다는 점, 지상 시설이 구축되지 않은 점들이 근거다.
북한이 19일 ‘정찰위성시험품’에서 촬영했다며 서울과 인천항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을 비롯해 한강 교량,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일대 등이 나온다.
북한은 "20m 분해능 시험용 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다스펙트럼) 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들,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을 설치한 위성시험품"으로 시험이 진행됐다고 밝혀 해당 장비들로 사진이 촬영됐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사진은 모두 흑백이고 확대하면 용산 삼각지 일대도 어렴풋이 보일 정도다. 사실상 위성사진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지구관측위성으로도 효용성이 없다.
또 북한은 우주환경에서 위성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상관측센터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시험에서 ‘우주환경 조건’에서 각종 지표를 검증했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지상시설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위성이 대기권을 빠져나가기 전 단계 관측만 가능했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이 조작된 사진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기상관측에 따르면 최근 동창리에는 눈이 내렸는데도 운반체 뒤쪽 배경으로 보이는 산이 눈으로 덮여 있지 않았다. 북측 공개 사진에 나온 서울 지역도 눈이 거의 없었다.
북한이 시험 발사 장면이라며 공개한 사진에는 액체 추진체의 모습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분출하는 화염의 색깔과 모양, 미사일 형상 등을 봤을 때 기존 액체연료의 노동 미사일 동체 가능성을 제기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운반체의 외형과 분출 화염, 궤적 등을 볼 때 북한이 주장하는 정찰위성 시험에는 노동 미사일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위성발사를 강조한 것은 자신들의 정보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도 분석된다. 북한이 이른바 ‘전술핵·전략핵·정찰위성’이라는 ‘북한판 3축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에서 ‘군사 정찰위성 운영’을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우주개발국 대변인이 이번 정찰위성 개발 시험을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이라고 밝혀 자신들이 목표한 개발공정이 끝마무리 단계에 있음을 시사했다.
홍민 북한연구실장은 "일련의 실험을 거쳐 8차 당대회에서 예고한 정찰위성 개발 과업의 밑바탕이 될 기술적 준비를 마쳤다고 선언한 것"이라면서 "북한이 ‘한국군의 눈’ 역할을 하게 될 첫 독자 정찰위성 개발에 자극을 받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절대강자 바나나맛우유 제쳤다…외국인 韓편의점서...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