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희 대표 인터뷰
[아시아경제 김영원 기자] 인벤티지랩 은 의약품 제조에 최초로 '마이크로플루이딕스(미세유체역학)'을 적용해 약물전달시스템(DDS) 플랫폼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얇은 관에 약물과 물을 별도로 넣어 중간에서 만나면, 물이 약물을 일정 간격으로 끊고, 끊어진 약물이 구의 형태가 되어 일정한 크기의 마이크로스피어(미세 입자)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현재 인벤티지랩은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기반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드럭플루이딕(IVL-DrugFluidic)'과 메신저 리보핵산(mRNA) 등 유전물질의 겉을 감싸 보호하고 세포 내로 전달해주는 LNP(지질나노입자) 제조 플랫폼 '진플루이딕(IVL-GeneFluidic)'을 파이프라인으로 가지고 있다.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마이크로플루이딕스 적용해 창업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광동제약 연구원 등 여러 제약사에서 근무하던 중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관심을 가지고 2015년 인벤티지랩을 창업했다. 장기지속형 주사제는 1회 투여로 1~6개월간 약효가 유지되는 주사제다. 김 대표는 "장기지속형 주사제 DDS 분야가 유망하다고 생각했지만, 만들기도 기술을 보유하기도 어려워 실제로는 잘 안 되고 있었다"면서 "'왜 그럴까' 생각을 했고, 플랫폼 기술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해 마이크로플루이딕스라는 기술을 도입한 DDS 플랫폼으로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인벤티지랩은 드럭플루이딕 플랫폼이 다른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조공정보다 높은 품질의 주사제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기존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조법이 고분자 약물이 들어간 용액 덩어리를 흔들어 쪼개서 입자를 만드는 방식이라면, 저희는 용액을 짜서 입자를 하나씩 만드는 기술"이라며 "의도한 대로 만들기 때문에 완성도가 좋고 입자가 고르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인벤티지랩은 드럭플루이딕 플랫폼을 바탕으로 대웅제약과 함께 탈모치료제 IVL3001(1개월) 임상 1·2상을 마치고 3개월 치료제인 IVL3002는 1·2상을 준비하고 있다. 기존 경구제인 치매치료제 성분 도네페질을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만든 IVL3003은 호주에서 임상 1·2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지난 6월 승인받았다. 김 대표는 "내년 상반기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알렸다.
많은 적응증 중 탈모·치매치료제를 개량신약으로 준비한 이유는 장기지속형 주사제로서의 강점이 분명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먹는 약은 불편하고, 치료 효과나 안정성, 부작용 면에서 어떤 약이든 문제점이 있는데,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적용했을 때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특히 치매치료제 부분에서는 다른 제형과 비교할 때 강점이 있다고 김 대표는 강조했다. 그는 "도네페질처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은 혈중 농도가 낮아지면 약효가 없고, 급증하면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가 있는데, 그 농도를 잘 유지하는 것이 저희의 큰 장점"이라며 "대부분 노인 환자이기 때문에 약을 자주 복용하는 게 힘들어 약효가 떨어질 수도 있고 패치 제형도 3일에 한 번씩 갈아 끼워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불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지금까지는 인벤티지랩이 이미 시장에 나온 약물을 자체 플랫폼에 담는 개량신약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향후에는 신규 적응증 약물을 플랫폼에 싣는 '자체 개발 장기지속형 신약'으로 개발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류마티스 관절염을 적응증으로 한 IVL4001, 다발성 경화증 대상 IVL4002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다.
mRNA 감싸는 'LNP' 제조기술 확보
코로나19 발생 이후 mRNA 백신이 주목받으며 인벤티지랩은 LNP 제조 플랫폼 진플루이딕 개발을 시작하게 됐다. 김 대표는 "코로나19 유행 기간 LNP 제조 기술 중 가장 유망한 DDS 최근 기술이 마이크로플루이딕스라는 것을 알게 됐고, 우리의 기반 기술도 같으니 기회가 있겠다고 해서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LNP는 mRNA 백신, 유전자 치료제 제조에 필요한 약물전달기술로, 인벤티지랩은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플루이딕스에 기반해 LNP를 제형화하고 제조 공정 기술을 확보했다.
인벤티지랩은 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차세대 백신, 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제조 공정에 대해 글로벌 제약사의 특허를 회피한 자체 믹서인 라미나 믹서(Lamina Mixer)도 개발했다. 현재 연구실 수행 규모(Lab scale) 장비는 화이자의 코로나19 mRNA 백신 기준 1시간당 2만2000도즈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발이 완료됐고, 보다 큰 파일럿 규모(Pilot scale) 장비인 '수프라'는 개발 완료 후 구축 단계에 있다. 이 장비로는 1시간당 5만3000도즈까지 생산할 수 있다. 김 대표는 "파일럿 스케일 설비로 비임상, 임상, 소규모 상업용 수요까지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벤티지랩은 LNP CDMO 사업화 수익이 발생하고 개량신약이 허가되면 2025년께 매출 및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22일 상장한 인벤티지랩은 내년에는 새 사업에 도전한다. 김 대표는 "올해는 상장을 위해 정말 불태웠고, 결과도 나쁘지 않았기 때문에 해온 일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없다"면서 "다만 상장 절차를 하느라 DDS 사업적인 부분에 집중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고 했다. 그는 "내년에는 사업 추진에 집중할 것"이라며 "아직 소개되지 않은 파이프라인들이 내년에 진도가 얼마나 나갈지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출근 못하면 회사 잘려, 도와달라" 법원 폭동 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