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성리학 전파로 건축된 사묘·재실·정려각 8곳 보물 지정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남한산성 숭렬전’과 ‘영월 창절사’, ‘영동 세천재’ 등
‘김제 내아’, ‘경주 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도 지정

성리학 전파로 건축된 사묘·재실·정려각 8곳 보물 지정
AD
원본보기 아이콘

성리학을 도입한 조선에는 사묘(祠廟)와 재실(齋室), 정려각(旌閭閣)이 여럿 조성됐다. 사묘는 선조·선현의 신주·영정을 모셔두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 재실은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들이 숙식하고 음식을 장만한 집이다. 정려각은 충신·효자에게 임금이 하사한 편액을 걸어두는 건물이다. 하나같이 조상에 대한 제향이 주목적이었으나 후손에 대한 강학(講學) 기능도 수행했다. 건립한 주체는 향촌 사회에 강력한 기반을 가진 사족 집단. 가문의 지위를 높이며 지역 내 정치적 기반을 견고히 다졌다.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 여덟 곳이 보물로 관리된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사묘와 재실, 정려각 250여 곳을 조사하고 지정 가치를 평가해 여덟 곳을 보물로 지정한다고 24일 전했다. ‘남한산성 숭렬전’과 ‘영월 창절사’, ‘영동 세천재’, ‘고흥 여산송씨 쌍충 정려각’, ‘강진 해남윤씨 추원당’,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 ‘전주 조경묘 정묘’, ‘포항 상달암’ 등이다.

성리학 전파로 건축된 사묘·재실·정려각 8곳 보물 지정 원본보기 아이콘

남한산성 숭렬전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에 머물면서 백제 온조왕에게 제사를 지낸 사묘다. 1661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져 ‘숭렬전’이란 명칭이 내려졌다. 간결하고 절제된 17세기 건축 형식과 구조를 간직하고, 현재도 제향이 계승돼 역사·문화사적 가치가 높다.


영월 창절사는 사육신 등 충신 열 명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곳이다. 보통 사당보다 규모가 크고, 서원처럼 유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동서재·배견루 등을 갖췄다. 단종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지어지고, 익공 등에 18세기 건축적 특징이 반영돼 역사·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영동 세천재는 충주박씨 황간파 박세필이 1691년 지은 재실이다. 부친 박지찬과 아들 박수소까지 3대의 제사가 진행된다. 독립운동가 성하식이 훈장을 맡아 교육하고, 초대 부통령 이시영이 시국 강연회를 여는 등 강학 공간으로도 쓰였다.

성리학 전파로 건축된 사묘·재실·정려각 8곳 보물 지정 원본보기 아이콘

고흥 여산송씨 쌍충 정려각은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전공을 세우고 순절한 송대립·심 부자를 기리기 위해 조성된 건물이다. 조정에서 내린 정려(旌閭)가 있다. 외관은 공포를 다포계로 꾸며 화려하다. 석주와 장초석을 사용해 품격과 장식성이 돋보인다.


강진 해남윤씨 추원당은 윤사보·경 부자를 모시는 재실,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은 윤광전과 아들인 단봉·단학 형제의 신위를 모신 건물이다. 전주 조경묘 정묘는 전주이씨 시조인 이한과 아내의 위패를 봉안한 사묘, 포항 상달암은 조선 전기 문신 손소의 명복을 빌려고 중건한 재실 건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8세기 전반 건립된 ‘경주 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과 1749년 지어진 ‘김제 내아’도 보물로 지정한다. 내아는 지방관 가족이 생활한 살림집이다. 공무를 수행한 동헌과 함께 당시 지방관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