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의무를 소홀히 한 사업자들이 제재 처분을 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6일 제18회 전체 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4개 사업자에 총 1800만 원의 과태료 부과 및 시정명령 조치를 의결했다.
처분받은 사업자는 현대자동차, 농심, 아이엠오, 엘피아이팀이다.
현대자동차는 자사 애플리케이션과 실시간 방송 판매(라이브 커머스)를 연동하면서 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은 소스코드를 운영 서버에 배포해 시스템 오류로 6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했다. 농심은 앱 이용을 위한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간편 회원가입 기능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의 유효성을 검증하지 않아 개인정보가 유출(1명)됐다.
아이엠오는 사업자 전용 문자 발송 누리집을 운영하면서, 개인정보 처리시스템 접속 권한과 누리집 취약점 점검 등 보안 조치를 소홀히 해 해커의 공격으로 9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DB) 서버 접속기록을 최소 1년 이상 저장·관리하지 않았으며 이용자의 비밀번호가 복호화되지 않도록 일방향 암호화해 저장하지 않았다. 또 정당한 사유 없이 24시간을 경과해 유출 사실을 신고하고, 이용자에게 유출 사실을 통지하지 않아 과태료 부과 및 시정명령 조치를 받았다.
엘피아이팀은 사업자 전용 휴대폰 액세서리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외부에서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 시 2차 인증 등 안전한 인증수단을 적용하지 않고 아이디·비밀번호만으로 접속하도록 운영했다.
진성철 개인정보위 조사2과장은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안전조치와 관련된 의무사항을 상시 점검하고, 유출 사고가 일어나면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해자들에게 유출 통지 등을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