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간선거서 공화당 하원 다수당 차지
반도체 산업서 미중 패권 경쟁 심화
강경 대립으로 추가 제재 늘어날까 우려
[아시아경제 김평화 기자] 미국 중간선거에서 입법권을 쥔 하원 다수당을 공화당이 차지하면서 대중 견제 기조에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모인다. 반도체 산업에선 미국과 중국이 강경 기조로 대립각을 세우면서 국내 업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국내 반도체 업계가 미국 중간선거에 따른 대중 기조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하원을 공화당이 차지하면서 대중 견제 조처가 강화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에서 생산하는 낸드플래시, D램 비중은 전체의 40%, 50%가량이다. 중국 사업 비중이 작지 않다 보니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제재에 강도를 높일 경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업계는 당장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다만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패권 경쟁을 지속하다 보니 강경 기조가 강화할 경우 추가적인 제재가 나올지 우려하고 있다. 최근 3연임 확정으로 장기 집권을 예고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 반도체 제재에 대립각을 세우는 점도 이같은 전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국내 기업엔 1년간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는데, 당장 추가 유예를 내다보기 힘들어진 것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이 경우 장기 관점에서 중국 사업 철수까지 고려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는 의견이 나온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달 26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진행한 콘퍼런스콜에서 이와 관련해 “만약 1년씩 유예가 안 돼 장비별로 라이선스를 받아야 한다면 메모리 상황은 어려워질 수 있다”며 “팹 운영이 어려워질 경우 팹과 장비 매각, 한국에 장비를 들여오는 것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18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 D램과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14㎚ 이하 로직 반도체 관련 장비의 중국 수출을 통제한다고 발표했다. 단,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대상으로는 1년간 이같은 통제를 제외하기로 했다.
중국 사업 비중이 높은 국내 반도체 장비 업계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당장 규제 영향권에 들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제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미국이 중국 반도체 규제를 심화하면서 최근 일본 등 동맹국을 대상으로 한 규제 참여를 높이는 점도 우려 요소라는 평가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