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5500원 광고 요금제 내놓은 넷플릭스 … 유료 구독자 다시 늘어날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수익성 개선 위해 한국 등 9개 나라에서 출시
기존 9500원 요금제보다 싸지만 1시간에 평균 4~5분 광고 시청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윤슬기 기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가 한국 등 9개 나라에서 광고 요금제를 시작했다. 앞서 넷플릭스는 광고 없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향해왔지만,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을 변경했다. 새로 출시된 요금제는 한국 기준 월 5500원으로, 기존 가장 저렴한 요금제(월 9500원)보다 4000원 더 싸다.


3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미국 서부시간 기준 이날 오전 9시(한국시간 4일 오전 1시)부터 한국을 비롯해 미국·브라질·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호주에서 광고 요금제를 도입했다.

'베이식 위드 애즈(Basic with ads)'로 명명된 이 요금제는 콘텐츠에 광고를 포함하는 대신 기존보다 월정액을 낮춘 요금제로 한국에서는 월 5500원, 미국에선 월 6.99달러로 책정됐다. 12개 나라에 우선 도입되는 이 요금제는 지난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먼저 적용됐고, 스페인에서는 오는 10일 서비스를 시작한다.


한국 기준으로 이 요금제를 선택하면 기존 '베이식 요금제'(월 9500원)보다 4000원 싸지만, 시간당 평균 4~5분 광고를 시청해야 한다. 광고는 15초 또는 30초 길이로 콘텐츠 재생 시작 전과 중간에 노출된다. 광고 요금제 고객은 베이식 요금제와 마찬가지로 노트북·TV·스마트폰·태블릿에 접속해 720p/HD 화질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광고 요금제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다. 먼저 선택한 고객은 다른 요금제와 달리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며, 광고 게재 권한을 놓고 라이선스 문제가 불거진 일부 콘텐츠도 광고 요금제에서는 당장 시청할 수 없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현재 넷플릭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즈니·NBC유니버설·소니픽처스·워너브러더스 등과 협상을 진행 중이다. 라이선스 협상을 진행 중인 프로그램 목록에 인기 미국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 '범죄의 재구성' '그레이 아나토미' 등이 포함돼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넷플릭스의 광고 요금제 도입은 수익성 악화에 따른 개선 방안이다. 북미에서 OTT 경쟁이 격화하는 데다,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로 지난 1분기 신규 가입자가 60만명 감소했는데 가입자가 감소세를 보인 건 넷플릭스 서비스가 시작된 2011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2분기에도 97만명이 감소했다. 3분기에는 가입자가 241만명 늘면서 유료 구독자 규모가 반등했지만, 북미 신규 가입자는 10만명에 그쳤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