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밀고 밀려서 타는 ‘지옥철’ … 직장인·대학생 몰리는 출퇴근길도 위험천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억지로 밀어 공간 만들고, 출입문에 붙어 열차 탑승
CNN “韓, 붐비는 인파에 익숙해 … 경각심 높여야”

서울 구로구 신도림역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aymsdream@

서울 구로구 신도림역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aymsdream@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서울 이태원 압사 사고로 평소 인파가 붐비는 현장에서도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달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일어난 압사 사고는 좁은 공간에 인파가 갑작스레 불어나면서 피해 규모가 커졌다. 당시 4m 내외의 좁은 폭과 45m 길이의 내리막길 공간에 최소 수만명이 몰려 20~30분간 옴짝달싹 할 수 없게 됐다. 최소한의 공간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압력의 규모가 커지면서 압박성 질식으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한 것이다. 실제로 몸무게 65kg의 성인 100여명이 한꺼번에 힘을 가했을 때 압력이 최고 18t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 혼잡도 179%


군중 속에 갇혀 압박을 받는 경우는 축제나 공연 등 특별한 장소에서만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 당장 출퇴근 시간만하더라도 비슷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많은 인파가 지하철이나 버스 등에 몰리면서다.


2020 철도통계연보 도시철도 수송실적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노선 중 최고 혼잡도를 기록하는 시간과 구간은 각각 오전 8시와 9호선(노량진~동작 구간)으로, 혼잡도는 179%다.

혼잡도는 전동차 한 칸의 표준 탑승 인원(160명)을 기준점(100%)으로 삼았을 때 실제 탑승 인원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다. 칸별 혼잡도는 여유(80% 이하)·보통(80%~130%)·주의(130%~150%)·혼잡(150% 이상)의 4단계로 구분되며, 지하철 혼잡도가 150% 이상에 달하는 혼잡 단계에 이르면 열차 내 이동이 어려워진다. 혼잡도 179%는 전동차 한 칸에 160명보다 126명 더 많은 286명가량이 탔다는 뜻이다.


특히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엔 출퇴근 지하철이 더 많은 인파로 붐볐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위원회가 발표한 2017년 도시철도공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가장 혼잡한 시간인 출근 시간대(오전 7시 50분~ 8시 20분)에 9호선(염창~당산 구간)은 한 칸에 약 380명 정도가 탑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할당 인원인 160명보다 무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 외에 2호선(사당~방배 구간)과 7호선(군자~어린이대공원 구간)의 혼잡도도 각각 202%와 172%에 달했다.


실제로 수도권에서는 대중교통 내 높은 밀집도로 인해 출퇴근길을 콩나물 시루처럼 빽빽하게 서서 가는 승객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미 사람들로 꽉 차 버린 열차가 도착했음에도 몸을 내던져 열차에 타는 이들도 적지 않다. 사람을 밀고 들어가 억지로 공간을 만들거나, 출입문 상단을 붙잡고 겨우 차 안에 몸을 싣는 식이다.


온몸이 꽉 낀 탓에 팔 하나 제대로 펼 수 없는 상황에서 열차가 급정거할 땐 균형을 잃고 휘청거리거나 넘어지는 경우도 종종 포착된다.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는 대학생과 직장인들 사이에선 지옥같은 지하철이라는 의미로 '지옥철'이란 단어를 사용할 정도다.



지난달 6일 오전 서울 1호선 서울역에서 승객들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6일 오전 서울 1호선 서울역에서 승객들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 안전 시스템 붕괴된 이유 규명해야


이처럼 일상에서 접하는 지옥철과 같은 상황이 이번 이태원 참사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는 전문가의 분석도 나온다. 인파가 몰리는 현상을 쉽게 마주할 수 있는 탓에 대규모 인파로 붐비는 공간에서의 위험성을 간과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줄리엣 카이엠 미국 재난관리 전문가는 CNN에 "서울 시민들은 밀집 공간에 익숙하다"며 "이러한 성향 때문에 거리가 인파로 가득 찬 상황에서 경각심을 크게 느끼지 않았을 수 있다"고 전했다.


박청웅 세종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도 연합뉴스를 통해 "만원 지하철 등 현장은 실제로 호흡이 곤란해지거나 공포감이 들 정도"라며 "일상이 되다보니 위험할 수 있다는 인식이 무뎌진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은 인구가 수도권에 편중돼있고 그 안에서도 교통 등이 발달해 한 공간에 운집하기 좋은 조건을 갖췄다"며 "우리는 어느새 그런 생활에 많이 익숙해졌다"고 분석했다.


다만 일각에선 평소 지하철이나 역대 핼러윈 행사 등에서도 사람이 많이 몰렸지만 큰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던 만큼 이번 이태원 사고에서 안전 시스템이 붕괴된 이유를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밀고 밀려서 타는 ‘지옥철’ … 직장인·대학생 몰리는 출퇴근길도 위험천만 원본보기 아이콘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