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수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비상 상황 대비 조치 현장 점검에 나선다. 점검 결과를 토대로 재난 시에도 IDC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20일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국내 데이터센터 사업자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업계와 충분한 소통의 과정을 거쳐 실질적이면서도 반드시 필요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국장)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전문가를 섭외해서 오는 24일 과기정통부 국정감사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현장 점검과 제도 및 해외사례 연구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IDC 사업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국장은 "사업자들이 현재 대응 체계가 맞는지 고민하면서 정부나 타 기업 사례를 요청했다"며 "IDC (재난) 훈련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점검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차관 또한 가이드라인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박 차관은 모두 발언에서 "재난 상황에서도 데이터센터가 끊김 없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전력, 소방 등에 대한 보호조치 기준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정기적 점검과 대비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며 "주요한 디지털 서비스 중단으로 많은 국민이 큰 불편과 피해를 겪은 만큼 정부는 이번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점검을 토대로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김 국장은 "잘 하는 사업자들도 있지만, 아직 허술한 곳도 있어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데이터센터연합회 차원에서 가이드라인 연구를 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을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5일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톡을 포함한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이 먹통이 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 당국, 경찰 등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지난 15일 오후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전기실에서 보관하던 예비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며 시작됐다. 당시 화재가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시작된 만큼 IDC 사업자들은 배터리 관련 고민이 깊다.
김 국장은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 물에 담그거나, 다 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며 "(화재 발생에 대해) 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배터리사와 IT사가 함께 만든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이 있지만 사람이 관찰하다 보니 놓치는 부분도 있어서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인한 IDC 화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0년 KT 강남 IDC에서도 리튬이온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 당시 빠르게 진화해 대형 장애로 이어지지 않았으나, 화재 원인은 비슷하다. 이후 KT클라우드는 지난해 리튬이온배터리를 납축전지와 리튬인산철배터리로 전량 교체했다.
김 국장은 "KT클라우드는 리튬이온배터리로 화재가 발생한 이후 배터리를 전부 교체한 경험을 공유했다. 모 기업은 그룹사 전체 차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를 아예 안 쓰기로 했다고 한다"며 "그러나 어느 유형의 배터리든 위험성은 다 있다. 건물의 구조적 문제로 (배터리를 교체하기에) 한계가 있어서 사업자들이 고민하고 있다. 일시에 대체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데이터센터연합회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IDC를 전체의 약 절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납축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2배 이상 높아 최근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다.
이번 간담회에는 KT클라우드,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LG CNS, 삼성SDS, 롯데정보통신, 하나금융티아이, 데이터센터연합회,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방송통신재난대책본부 점검회의'를 지속해서 개최하면서 예방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