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업탐구]티쓰리엔터테인먼트, ‘오디션’보다 드론 사업 성장세 주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아시아경제 장효원 기자] ‘오디션’ 게임 개발사로 유명한 티쓰리엔터테인먼트가 코스닥의 문을 두드린다. 티쓰리엔터는 최근 게임보다 드론 자회사에서 더 큰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티쓰리엔터는 상장 후 공모자금으로 신규 게임 개발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기업탐구]티쓰리엔터테인먼트, ‘오디션’보다 드론 사업 성장세 주목
AD
원본보기 아이콘


게임 ‘주춤’ 드론 ‘훨훨’

2000년 설립된 티쓰리엔터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을 개발, 서비스하는 회사다. 대표작은 리듬액션게임 ‘오디션’으로, 이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클럽 오디션’ ‘퍼즐 오디션’ 등을 출시했다. 오디션 외에도 ‘삼국지천’ ‘카몬히어로’ 등의 온라인게임과 ‘천지를베다’ ‘세계정복’ 등 모바일 게임도 개발했다.


다만 다른 게임들에서 의미 있는 매출 성장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온라인게임인 오디션으로의 매출 편중은 증가하는 추세다. 티쓰리엔터의 별도 기준 전체 매출 중 ‘오디션’ 단일 매출 비중은 2019년 54.3%, 2020년 55.2%, 2021년 69.5%, 2022년 반기 91.4%로 매년 늘고 있다.

티쓰리엔터의 별도 매출액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별도 기준으로는 게임 개발사업만 반영된다. 올 상반기 티쓰리엔터는 매출액 111억원, 영업이익 5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4% 줄었다. ‘클럽 오디션’을 포함해 모바일 게임 부문 매출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연결 매출액은 증가하고 있다. 티쓰리엔터는 올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 357억원, 영업이익 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1%, 43% 증가했다. 2019년 436억원, 2020년 594억원, 지난해 687억원 등 매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드론사업 부문의 성장 때문으로 풀이된다. 티쓰리엔터테인먼트는 종속회사로 한빛소프트 , 한빛드론을 거느리고 있다. 한빛소프트는 코스닥 상장사로,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한빛드론은 글로벌 드론기업 DJI의 국내 공식 딜러사다. 농업용, 산업용, 취미용 등 다양한 분야의 드론을 유통, 판매하고 있다. 또 DJI 공식 인증(RSC)을 받은 AS센터도 운영하는 등 통합솔루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드론매출 부문은 2019년 109억원에서 2020년 235억원, 2021년 351억원, 올 상반기 195억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9년 전체 매출의 25%를 차지하던 드론 부문 비중은 올 상반기 55%까지 올라왔다.


CB·스톡옵션 잠재 물량도

티쓰리엔터의 공모희망가는 1500~1700원이다. 공모가는 비교기업의 주가수익비율(PER) 평균을 적용해 산출했다. 비교기업은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웹젠, 미투온, 컴투스, 데브시스터즈, 모비릭스, 미투젠 등 8개 게임회사다. 티쓰리엔터의 연결 매출 절반 이상이 드론 유통사업에서 발생하지만 비교기업에 드론 관련 회사를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게임사 8개의 평균 PER는 16.89다. 여기에 52.22~57.84%의 할인율을 적용해 공모희망가를 산출했다. 할인율은 최근 1년간 상장한 기업들 중 가장 큰 폭이다. 평가액 하단 기준 50% 이상의 할인율을 적용한 기업은 3개사에 불과하다.


티쓰리엔터는 이번 상장으로 255억~289억원을 공모할 계획이다. 공모자금 중 대부분은 신규 게임 개발비로 사용할 예정이다. 현재 티쓰리엔터는 오디션, 클럽 오디션 등을 제외하고 3건의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티쓰리엔터의 최대주주인 김기영 회장의 지분과 특수관계인 지분 35.41%는 공모 후 30개월간 보호예수된다. IDG엑셀차이나펀드, 스틱4차산업혁명펀드, 상하이나인유, 한양증권, 우리사주 등의 물량도 1~12개월간 묶인다.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은 31.58% 수준이다.


또 전환사채(CB)전환 가능 주식 수는 25만3968주로 공모 후 기준 0.36%다. 전환가는 1575원이다. 스톡옵션 규모는 382만주로 공모 후 기준 5.48%다. 행사가격은 1000원이다. 전환사채와 스톡옵션 모두 현재 행사 가능한 상태며 상장 후 곧바로 나올 수 있는 물량이다.


한편 티쓰리엔터는 오는 11월 1~2일 기관투자가 수요예측을 진행한 후 7~8일 일반청약을 받아 11월 말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