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 지속된 금리 상승으로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4대 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이 2020년 이후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은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총 5226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1558억5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이 1326억3300만원, 우리은행이 1189억5300만원, 신한은행이 1151억7200만원 순이었다.
중도상환수수료는 만기 전에 대출금을 갚으려는 사람에게 부과하는 일종의 해약금으로, 만기 미스매치에 따른 자금운용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부과된다. 최근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도에 대출을 상환하고 싶어도 수수료가 발목을 잡을 뿐 아니라 은행들이 최근 역대급 실적을 올리면서 건전성이 양호한 상황에서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은행들의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은 2020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은행은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이 2020년 700억원이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약 570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은 2020년 480억원에서 지난해 412억원으로 줄었고 우리는 513억원에서 지난해 432억원, 하나는 579억원에서 493억원으로 감소했다.
이같은 중도상환수수료 수익 감소는 인터넷은행들이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 데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하고 있으며 케이뱅크는 가계대출 일부 상품에 대해 0.7~1.4%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케이뱅크의 중도상환수수료 수입은 지난해 15억1300만원, 올해 들어 7월까지 4억5900만원을 기록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김치공장 창고에 수백만원 사무용품?…달랑 200원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