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키즈존', '예스키즈존' 등 각종 '키즈존' 등장
특정 연령·세대 구분 논란 일기도
전문가 "교육·제도 변화 통해 인식·공간 변화 이끌어야"
[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 캐나다에서 거주하다 최근 국내에 방문한 강모씨(30)는 부모님과 함께 갈 식당을 알아보다가 곤란함을 겪었다. 5개월 아이와 함께 식당을 방문할 생각이었으나 찾는 곳마다 '노키즈존(No Kids Zone)'이라며 번번이 퇴짜를 맞았기 때문이다. 그는 "뛰어다닐 일도 없고 소음이 문제라면 룸으로 예약해도 안 되겠는지 양해를 구해봤지만, 죄송하다는 말만 돌아오더라"며 "한국에 노키즈존이 꽤 된다는 소리를 전해 들었지만 아직까지 이런 줄 몰랐다"고 말했다.
어린 손님을 받지 않는 노키즈존 업소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노키즈존 외에도 아이에 대한 적극적인 보살핌을 요구하는 '케어키즈존(Care Kids Zone)', 어린 고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예스키즈존(Yes Kids Zone)' 등 각종 키즈존이 등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지적도 따른다.
국내에 노키즈존을 도입하는 업장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국민 여론도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노키즈존을 '허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71%에 달했지만, '허용할 수 없다'는 응답은 17%에 불과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5년째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김모씨(38)는 "아이들이 넘어져 다치거나 하면 책임을 물으시는 경우도 있어 문제지만, 그것보다는 손님들 간 다툼으로 곤란한 적이 꽤 됐다"며 "원래는 노키즈존이 아니었지만 곤란한 일이 많아 바꾸게 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추세에 노키즈존 업장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는 아동의 신체·정신 건강에 유해하거나 시설 이용에 특별한 능력이나 주의가 요구되지 않는 한 노키즈존은 명백한 아동 차별이라고 판단해 철회 권고를 내리기도 했다. 두 자녀를 둔 서모씨(34)는 "다른 손님들에 방해가 된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아예 배제하는 건 답이 아니지 않나"라며 "논란이 됐던 일들도 아이들이 문제가 아니라 부모가 문제인 경우가 대다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이를 금지할 게 아니라 아이에 대한 조처를 하지 않는 부모가 책임을 지도록 바꿔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노키즈존의 대안으로 각종 키즈존이 등장하기도 했다. 일부 매장들은 아이들의 매장 출입을 허용하는 대신 보호자에게 적극적인 돌봄을 요구하는 케어키즈존을 내세웠으며, 영·유아나 어린이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예스키즈존을 내건 가게도 등장했다.
각종 대안이 등장했지만, 키즈존을 구분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이 따른다. 실제 노키즈존에서 파생돼 특정 연령이나 세대를 배제하는 각종 '노 존(No Zone)'이 등장하며 이 같은 구분이 차별이라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최근 한 캠핑장에서 '40대 이상은 과음과 고성방가 등으로 이용객들에게 폐를 끼친다'며 '노중년존'을 공지해 논란이 됐다. 부산의 한 카페는 중·고등학생들이 카페 주변에서 흡연을 한다며 '노유스존(No Youth Zone)'을 적용하기도 했다. 부산의 한 대학교 앞 술집에서는 '일부 교수들이 갑질을 한다'며 '노교수존' 안내문을 내걸었다가 항의를 받고 내리는 일도 벌어졌다.
전문가는 단편적인 해결책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교육과 제도 변화를 통한 인식과 구성 공간의 변화를 장기적인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학 한국다양성연구소장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모두를 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린이와 장애인, 노인 등 모두가 어디든지 안전하고 평등하게 포함될 수 있는 건축 공간과 문화가 중요하다"며 "식당이나 학교, 대중교통, 화장실 어디든 그들이 있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소장은 "모두를 포함하는 사회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선 교육과 동시에 제도가 다뤄져야 한다"며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이 있어야 하고, 공간의 구성물들을 통해 사회 전체를 바꾸기 위해선 법과 제도를 얘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두 가지가 동시에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큰 변화가 생기기에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가면 노키즈존으로 인한 갈등의 근본적인 변화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