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화질 낮춰 비용 줄이고, 광고 넣고…살길 찾는 스트리밍 업체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코로나19 엔데믹에 성장세 꺾여…수익 모델 고민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수연 기자]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던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들이 엔데믹(풍토병화) 시대로 전환하자 성장세가 꺾이며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트위치는 29일 네트워크 요금 등 비용 증가를 이유로 동영상 화질을 최대 1080p에서 720p로 낮춘다고 밝혔다.

트위치는 블로그 공지를 통해 "한국에서 서비스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새로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 9월 30일부터 트랜스코드(화질 조정)가 제공되는 채널에서 한국 시청자의 원본 화질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질 조정 이유로는 "한국의 현지 규정과 요건을 지속해서 준수하는 한편, 모든 네트워크 요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을 성실하게 지불해 왔다"며 "그러나 한국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비용은 계속 증가해왔으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 내 서비스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비용이 상승하는 이유를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망 사용료가 커지는 탓에 화질을 제한해 부담을 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회에 망 사용료 관련 법안 7건이 발의되는 등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국내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와 망 이용대가 관련 계약을 체결하도록 의무를 지우는 입법 움직임이 나타나는 상황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망 사용료로 인한 부담은 표면적 이유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트위치는 모기업인 아마존의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쓰고 있다. 그렇다면 AWS가 비싸다는 것인가"라며 "비용 절감이 필요한 이유는 망 사용료 때문이 아닌 사업 모델 때문으로 보인다. 코로나19가 끝난 뒤 사람들이 전처럼 집에서 TV나 동영상 플랫폼을 시청하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1일 트위치는 창작자와 수익 배분율을 조정하기도 했다. 기존에는 창작자가 후원받은 금액을 트위치와 창작자가 각각 3대 7로 나눴으나, 내년 6월부터는 10만 달러(약 1억4340만원) 이상 수익 발생 시 각각 5대 5로 분배한다는 내용이다.


엔데믹이 시작되고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2020~2021년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던 스트리밍 업체들이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다.


컨슈머인사이트 '2022 상반기 이동통신 기획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유료 이용률은 61%로 직전 반기 대비 2%P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1년 하반기 유료 이용률은 직전 반기 대비 9%P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둔화한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글로벌 1위 OTT 넷플릭스다. 넷플릭스는 최근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자가 감소했다. 지난 1분기에는 20만명, 2분기에는 97만명 줄어들면서 2억2070만명을 기록했다.


넷플릭스는 광고 요금제 카드를 빼 들며 수익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 7월 주주 서한을 통해 새로운 광고 지원 서비스를 내년 초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넷플릭스가 오는 11월 광고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여기에 지난 26일 핀란드 헬싱키에 4번째 게임 스튜디오를 설립하는 등 영상 콘텐츠 외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시즌이 티빙에 합병됐으며, 왓챠가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매각설이 돌고 있다.


유튜브도 최근 광고 수익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 유튜브 광고 수익은 2020년 197억7200만 달러(약 28조원)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30.5% 뛰었다. 지난해는 288억4500만 달러(약 41조원)를 올리며 45.9% 급증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는 142억900만 달러(약 20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9.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유튜브는 내년부터 짧은 동영상 '쇼츠' 서비스에 광고를 탑재하기로 결정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