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장관회의 결과 브리핑'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우리 정부가 무역,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경제 등 4개 필러로 진행하는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협상에 모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디지털 경제, 공급망, 기후변화 대응 등 신통상분야의 규범 및 협력 방안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IPEF 장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8~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IPEF 참여국 장관회의에서 4개 분야 각료선언문에 합의하고 공식 협상개시를 선언했다.
IPEF는 전세계 GDP의 약 40%,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경제협의체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CPTT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보다 큰 경제 협력체제다. 우리 정부는 IPEF 출범 멤버로 참여하였으며, 당초 예상보다 많은 14개국이 이탈 없이 협상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IPEF가 기술과 자본을 보유한 선진국을 비롯해 자원, 인력 등 잠재력이 풍부한 신흥국 등의 참여로 역내 당면과제를 해결하는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세인하를 통한 시장개방 대신 디지털 경제, 공급망, 기후변화 대응, 반부패 등 기존 FTA에서 다루기 어려웠던 신통상분야에서 규범과 협력체계 마련에 방점을 찍고 있다.
구체적으로 무역 분야에서는 디지털, 노동, 환경 등 규범 수립에 선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우리 기업에 우호적인 역내 통상질서를 구축할 방침이다. K-콘텐츠는 물론 핀테크 등 아세안 디지털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통관애로 해소 및 비용 절감, 중소·수출기업 역내 진출 지원, 식량공급망 및 농업기술협력 등 식량안보를 강화한다.
공급망 분야는 정보교환, 조기경보 등 협력 메커니즘을 통한 공급망 안정화, 공급망 인프라 구축과 역내 산업에 대한 투자·기술협력으로 공급망 다변화를 촉진한다.
청정경제 분야는 파리협정에 기반한 기후변화 공동대응 목표를 강조했다. 청정에너지 전환이 시장·투자 등 상업적 기회 창출을 부각하는 만큼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공정경제와 관련해서는 환경을 목표로 조세 투명성을 제고하고 반부패 협약 이행을 강화한다. 우리 기업의 해외 투자, 진출 여건 개선, 조달 시장 등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안 본부장은 "향후 민관전략회의 및 분야별 워킹그룹을 통해 업계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원팀을 통한 IPEF 협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포기 안 합니다"…무너진 현장에서 맞잡은 손, 20년 만의 기적에 HUG도 "처음 본 일"[건설위기 보고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80809394079151_172307758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