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요국 금리 인상에 시장금리 급등…“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주요국 금리 인상에 시장금리 급등…“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지 기자] 미국을 비롯해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시장 채권 금리가 치솟고 있다,


1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8일 기준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최종호가수익률은 연 3.543%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연 1.798%로 마감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174.5bp(1bp=0.01%포인트) 뛰어오른 것이다. 지난 1일 기록한 연고점(3.778%)을 기준으로 보면 198bp 상승한 것으로, 2%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3년물을 제외한 단기물과 장기물들도 모두 1%포인트(p)가 넘는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달 8일 기준 2년물과 5년물 금리는 올해 각각 185.6bp, 159.6bp 올랐다. 10년물(137.4bp)과 20년물(120.5bp), 30년물(115.4bp), 50년물(110.6bp)도 모두 급등세를 보이며 1%대에서 3%대로 상승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제어를 위해 통화 긴축 기조를 지속하자 시장금리도 고점을 높이고 있다. Fed는 이달에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연설에서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발언을 한 이후 연준 위원들까지 이에 가세하면서 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이 더욱 짙어진 상황이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 8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0.5%에서 1.25%로 0.75%포인트 깜짝 인상했다. 캐나다 중앙은행도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국고채 급등으로 회사채 등 다른 채권 금리가 폭주하면서 기업의 자금 조달엔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지난 8일 신용등급이 AA-인 기업의 무보증 회사채 3년물 금리는 연 4.541%로, 지난해 말의 연 2.415%에서 급등했다. 신용등급이 BBB-인 기업의 무보증 회사채 3년물 금리는 연 10.398%로 역시 지난해 말(8.270%)보다 크게 올랐다. 이달 1일에는 AA- 등급 금리와 BBB- 등급 금리가 각각 연 4.747%, 10.605%를 기록해 나란히 연고점을 기록했다.


다만 일부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기준금리가 지금의 예상 수준(3.25~3.50%)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채권금리가 급등할 여지는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다음주 미국 CPI를 통해 물가 압력이 완화되고 있는 점이 추가 확인되면 (6월 9.1%→8월 예상 8.1%) 금리 급등세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국내 장기물의 경우 미국의 역전돼 있는 수익률곡선이 정상화되면서 상승할 여지가 남아있지만 3년 이하의 중단기 구간의 경우 고점을 이미 지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