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태풍 덮친 철강업계…실적 악화 위기 덮쳤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포스코, 49년만에 제철소 가동 중단
자동차 등 산업계 피해 우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수요가 줄어들면서 재고가 쌓이며 업황 부진에 시달리는 철강업계에 태풍 '힌남노'가 덮쳤다. 정상적인 공정 생산까지 중단되면서 하반기 실적 부진이 우려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현재 휴풍중인 포항제철소 고로 3기를 오는 10일부터 순차적으로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침수피해를 보았던 선강변전소는 지난 7일 정상화했으며, 담정수설비 및 LNG발전도 9일부터 차례로 정상화해 고로 조기 가동에 필요한 스팀과 산질소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압연변전소도 10일까지 정상화해 제철소 전력 복구를 완료한다는 목표다.


제철소 핵심 설비인 고로 3기는 직접적인 태풍 피해가 없었으나 일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가동이 중단된 포항제철소는 포항 지역의 기록적인 폭우로 제철소 인근 하천인 냉천이 범람했고 제철소 상당 지역이 침수됐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정전으로 인한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부생가스 방산 등 긴급 조치를 시행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추석 연휴 기간에는 포항제철소 임직원은 물론, 광양제철소 가동 계획을 조정해 직영, 협력 인력들이 복구 지원에 나설 예정"이라며 "제철소내 환경정비는 연휴기간 내 모두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도 태풍 피해 발생 직후 다른 일정을 취소하고 포항제철소를 찾아 피해 현장과 직원들의 안전을 살피고 조속한 피해 복구를 당부했다. 최정우 회장은 "조속한 설비 복구와 고객사 피해 방지를 위해 광양제철소 전환 생산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포항제철소의 가동 중단이 장기화할 경우 자동차, 조선, 가전 등 후방 수요산업의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반도체난에 철강 부족 현상으로 생산 차질이 심화될 수 있고 최근 수주 호황을 맞은 조선 산업의 생산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현대제철도 포항공장이 태풍 '힌남노'에 따른 침수 피해로 가동이 중단됐다. 현대제철은 포항공장의 봉형강 및 중기 제품 제조를 일시 중단하고 피해 설비 복구에 나선다고 공시했다. 이는 폭우를 동반한 힌남노의 영향으로 공장 일부 지역이 침수 피해를 본 데 따른 것이다.


다만 현대제철 측은 제품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제철은 "현재 피해 설비를 복구 중"이라며 "인천과 당진공장 재고 및 가동률 증대를 통해 매출 손실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철강업체들은 수요 부진으로 재고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열간압연강재 재고는 6월말 기준 407만6000t으로 전년 동기 266만t 대비 53.2% 증가했다. 열간압연강재 재고는 코로나19 확산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과잉 생산'으로 향하고 있다.


2020년말 295만2000t에서 지난해 말에는 352만3000t으로 늘었으며 올들어서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들어 생산량을 3383만4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519만8000t 보다 3.8%나 줄였지만 재고 증가를 막지는 못했다.


제품별로 강관(0.3%)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재고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열연강판의 재고는 172만80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나 늘었다. 상반기에 1866만t을 생산하면서 전년도(1909만t)에 비해 생산량을 줄였음에도, 내수 판매와 수출이 494만t, 284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7%, 15.2% 줄어들면서 재고가 많이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재고가 쌓이면서 제품 가격은 하락하고 있다. 국내 열연강판 유통 가격은 지난 5월 t당 138만원에서 이달 102만원까지 떨어졌다. 철근은 같은 기간 111만원에서 92만5000원, H형강은 140만원에서 123만원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철강제품 수요산업인 자동차·건설 등이 부진하고 각국의 긴축정책 등으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현실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부동산 등 인프라 투자가 지연된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