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시, '성희롱 없는 일터 만들기' 에세이 공모전 24편 작품 선정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어렵게 재취업한 유자녀 이혼 여성 직장인의 피해 경험을 다룬 '다음 사람' 최우수상

서울시, '성희롱 없는 일터 만들기' 에세이 공모전 24편 작품 선정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서울시 '위드유' 서울직장성희롱성폭력예방센터가 성희롱 없는 성평등한 기업문화를 확산하고자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성희롱 없는 일터 만들기’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하고 최종심사를 거쳐 24편의 작품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2개월간 81편의 작품이 접수됐고, 전문가 6인의 최종 심사를 거쳤다. 최우수상인 서울위드유상은 이지은님의 ‘다음 사람’에게 돌아갔다. 자녀가 있는 이혼 여성이 경력단절 후 어렵게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조직 내에서 성희롱을 경험하고 다른 피해자들과 연대해 징계를 받아내기까지의 기록이 담긴 ‘다음 사람’이 심사단의 만장일치로 서울위드유상에 선정됐다.

올해로 3년 차를 맞이하는 공모전에는 지금까지 총 390편의 응모작이 접수됐다. 문학평론가 등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본 공모전이 한국 사회에 만연한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 ‘차마 말하지 못했던’ 당사자의 목소리를 사회적 메시지로 전환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사무직뿐만 아니라 대면접촉서비스 및 보건의료직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참가자들의 에세이를 통해 여성 노동자를 성적 대상화하는 사회문화적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이혼 여성, 한부모 가정, 경력단절 여성, 비정규직 여성, 중년 여성의 성희롱 피해사례가 다수 눈에 띄었다.


또한 남성 중심의 수직적 조직 환경이 여성뿐 아니라 남성 직장인들에게 미치는 악영향 및 그 경험을 다룬 내용도 주목할만하다. 여성 도우미를 동원하는 회식문화에 문제의식을 느끼는 사회초년생 남성, 상급자의 직장 내 성희롱에 맞서 피해자 지원과 연대로 타의 모범이 된 남성의 에세이가 가작으로 선정됐다.

이 밖에 MZ세대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 나름의 요령으로 즉각 대처함으로써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확산해가는 다양한 방법들이 눈길을 끌었다. 사내 성희롱 상황을 목격하고 사무실 복사기 옆에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하는 사항들’이라는 문서를 붙여두거나, 여성에 대한 편견을 드러내는 나이 든 남성 상사에게 “할아버지 같다”고 웃으며 받아치는 MZ세대의 반응이 주목을 받았다.


센터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공모전 수상작을 웹툰, 에세이북 등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해 성희롱을 사소화·일상화하는 사내 조직문화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공모전 참가작의 많은 부분에서 성차별적 조직문화가 여실히 드러나고, 그러한 조직문화가 성희롱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서울시 직장인들의 노동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사업장 내 성희롱 예방체계 마련과 성평등한 기업문화 확산을 위해 서울시가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