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0억 규모 유증 결정…'B737-Max' 도입 자금
이자 비용, 올해 414억원→ 2027년 1232억으로
"EPS, 2027년 1391원으로 낮아질 것"
한진 통합 LCC 출범 시 경쟁 심화
일본 노선 재개, 단기적 호재
[아시아경제 황윤주 기자] 제주항공 이 예상보다 큰 유상증자와 경쟁 심화 우려에 저공비행 중이다.
6일 오전 9시10분 기준 제주항공 주가는 1만5250원으로 지난달 25일 1만6800원에서 9.23% 하락했다.
하반기 들어 4.9% 하락했다. 일본 노선 재개로 기대감이 컸던 것과 달리 주가는 저공비행 중인데 증권가도 제주항공 에 대한 목표주가를 낮추고 있다. KB증권 1만5000원(6.3%↓), 대신증권 1만7000원(34.6%↓), SK증권은 1만8000원(30.8%↓)으로 하향했다.
제주항공 에 유보적인 평가를 한 가장 큰 이유는 예상보다 큰 유상증자 계획이다. 제주항공 은 3200억원 규모(2723만주)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유상증자 규모가 증권가의 예상치(1235만주)를 크게 웃도는 점이 리스크가 됐다. 유상증자로 인해 제주항공 의 유통주식 수는 코로나19 이전(2019년 말) 2629만주에서 2022년 말 이후 7692만주로 3배 가까이 증가한다. 이에 유상증자가 발표된 직후 거래일인 지난달 29일 제주항공 은 10% 넘게 하락 마감했다.
비용 부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상증자는 2018년 결정한 'B737-Max' 도입을 위한 자금 조달의 목적으로 보인다. 제주항공 은 5년간 최소 40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연간 이자 비용은 2022년 414억원에서 2027년 1232억원으로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제주항공 은 매출 비중이 높았던 일본 노선 재개로 실적 개선이 기대됐다. 그러나 리오프닝 초기 여행 수요 급증은 단기적인 호재에 머무를 수 있다는 평가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2017년 2936원을 기록했던 제주항공 의 주당순이익(EPS)은 업황 정상화와 항공기 기단 확대에도 불구하고, 늘어난 이자 비용과 주식 수로 인해 2027년에는 1391원으로 낮아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한진그룹의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출범도 우려다. 최근 호주 당국이 대한항공 과 아시아나항공 의 기업결합을 무조건 승인하면서 합병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합 LCC가 출범하면 2위 진에어 와의 경쟁이 심화할 것이란 설명이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세계 최초'로 일냈다…수십년 써도 성능 그대로, 불도 안나는 '바나듐이온배터리' 개발[강희종의 디깅에너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20510331620204_17387191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