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부동산 시장 내 공적 영역의 역할의 중요성이 나날이 대두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정책 홍보 활성화와 수요자 상담 품질 향상을 위한 ㈜메이크봇의 챗봇 도입과 고도화가 잇따르고 있다.
AI 기반 인공지능 전문 기업 메이크봇은 한국부동산원·한국산업단지공단·SH서울주택도시공사 등 주요 공공 부동산 서비스의 홍보와 상담을 위한 챗봇 서비스를 구축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부동산 맞춤형 챗봇 서비스를 널리 확대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한국산업단지공단의 부서별 챗봇 서비스 확장과, SH서울주택도시공사의 챗봇 서비스 고도화 등 기존 메이크봇 서비스 이용 기관들의 서비스 확대는 물론,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도입 추진을 발표한 ‘주거복지 챗봇’에 이르기까지 메이크봇의 부동산 관련 서비스 확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국부동산원이 청약, 녹색건축, 도시재생, 토지통계 등으로 꾸준히 챗봇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산업단지공단이 분양, 입주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며,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최근 챗봇 서비스를 고도화한 가운데, 올 하반기와 내년도에는 제주특별자치도와 같이 부동산 정책 홍보와 상담, 그리고 부동산 거래 안내 등을 필요로 하는 각 지자체들의 챗봇 도입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메이크봇 김지웅 대표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와 각 지자체의 노력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애써 만든 정책이 널리 알려지고 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공 부동산 분야에서의 챗봇 서비스 도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이미 부동산 외 다양한 공공서비스에서, 민원 챗봇 도입을 통한 저비용, 고효율의 가치를 증명한 바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메이크봇은 대한항공, CJ온스타일, 롯데칠성, 스카이라이프, 풀무원푸드앤컬처 등 주요 기업은 물론, 한국전력공사, 한국관광공사, 각 지자체 등 민간과 공공을 넘나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챗봇 서비스 선두 주자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최봉석 기자 mail00@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사고 연달아 터져, 본격 칼바람 시작"…'임원 30%...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트럼프에 찰싹 붙은 그녀…국민 82% "전폭적 지지"[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10262497085_1762392384.png)







![李대통령도 축하한 '롤드컵 쾌거' 뒤에는 우리은행 있었다[1mm금융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315193516792_1763014775.jpg)

![20억 오른 강남 아파트, 보유세는 400만원 ↑[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207362175745_1761086181.jpg)

![[시시비비]병원 압박만으론 응급실 뺑뺑이 해결 못 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407384039910A.jpg)
![[기자수첩]숙취에 직면한 K-주류산업](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410235220247A.jpg)
![[에너지토피아]해상풍력의 세 마리 토끼 잡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410540332536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